조선 최고의 문장가 연암이 알려주는 글쓰기 법칙 조선 최고의 문장가 연암이 알려주는 글쓰기 법칙 (출처 조선일보) 저자가 압축한 연암의 글쓰기 법칙은 네 가지다. 1. 정밀하게 독서하라. 2. 관찰하고 통찰하라. 3. 원칙을 따르되 적절하게 변통하여 뜻을 전달하라. 4. 관점과 관점 사이를 꿰뚫는 '사이'의 통합적 관점을 만들라. ♣ 산마을 詩情 산책/문학창작도움방 2019.12.08
수필의 예술성과 과제 수필의 예술성과 과제 金 宇 鍾 1.수필가의 이론 문학의 이론은 평론가가 남을 평가하고 따질 때나 써먹는 도구가 아니다. 문학에 대한 바른 이론은 좋은 창작을 위해서 문인이 이수해야 할 필수 과목이다. 그리고 문인으로서의 사회적 명예와 권리를 지키기 위해서도 이론은 필수다. 특히.. ♣ 산마을 詩情 산책/문학창작도움방 2019.10.13
좋은 시를 쓰는 길목에서 좋은 시를 쓰는 길목에서 '좋은 시란 운문으로서의 운율적 요소를 바탕으로 독창적인 이미지와 새로운 인식 내용을 보여주는 작품 일 것이다' 1. 말하지 않고 말하는 방법 - 시인은 시 속에서 벌써 다 말하고 있지만 겉으로는 이런 사실을 하나도 표현하지 않는다 좋은 시 속에는 감춰진 .. ♣ 산마을 詩情 산책/문학창작도움방 2019.10.08
시의 촛점에 대하여/황동규 시의 초점에 대하여 /황동규 1958년 {현대문학}에 [즐거운 편지]와 [시월]이 추천이 되어 시단에 나왔으니, 올해로 데뷔 42 년이 됩니다. 그 동안 작품을 써오고,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문학을 가르치면서 느낀 것은 문학 작품은 그 누가 뭐라고 하더라도 인간이 자기가 체험한 것을 형상화시.. ♣ 산마을 詩情 산책/문학창작도움방 2019.10.08
초보시인 시인 지망생을 위하여 내가 시를 쓰기 시작할 무렵, 그래도 이론적인 뒷바탕(공부)이 될만한 책을 읽으려고 책을 많이도 찾아보았다. 여러권을 사기도 하였지만 사고 나면 번번이 후회하게 되고 도움 되는 것이 없어서 매번 허전하고 아쉬웠다. 그러다 우연히 마주친 책 그것이 바로 꼭 내가 찾는 책이었다. 이.. ♣ 산마을 詩情 산책/문학창작도움방 2019.10.08
틀리기 쉬운 우리말|◐------- 001. 아기가 책을 (꺼꾸로, 거꾸로) 보고 있다. 002. 과자 (껍질, 껍데기)를 함부로 버리지 마라. 003. (딱따구리, 딱다구리)가 쉴새없이 나무를 쪼고 있다. 004. 땀에서 (짭짤한, 짭잘한) 맛이 났다. 005. 나는 (배짱, 베짱)이 있는 사람이다. 006. 나는 (왠지, 웬지) 슬펐다. 007. 그는 (왠일인지, 웬일.. ♣ 산마을 詩情 산책/문학창작도움방 2019.10.05
시작(詩作)을 위한 열가지 방법 1. 동물의 이름을 머리와 가슴속에 넣고 다녀라. (조류,곤충류,어패류,동물들의 이름을 가령 종달새,굴뚝새, 파리,물거미,달이, 소라고동, 바다사자, 고양이 등) 2.바람과 쉼 없이 마주하라. (동서남북 바람, 강바람, 산바람,의인화한 바람까지도) 3.기후와 계절의 변화에 민감하라. (안개,폭.. ♣ 산마을 詩情 산책/문학창작도움방 2019.10.05
시 한편으로 순 우리말 공부 註 : 온새미로-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생김새 그대로 자연그대로 언제나 변함없이 푸르미르-청룡 가시버시-부부를 낮잡아 이르는 말 비나리-<민속> 걸립을 업으로 삼는 사람 윤슬-햇빛이나 달빛에 비치어 반짝이는 잔 물결 물바늘-수준기 푸실-꼬지 아니한 명주실 안다미로-담은 것이 .. ♣ 산마을 詩情 산책/문학창작도움방 2019.10.05
글의 표현 방법 (수사법) 글의 표현 방법 (수사법) 1. 글의 표현 방법을 공부하는 이유 글쓴이는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표현 방법을 사용하여 글을 쓴다. 글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떤 표현 방법이 사용되었는지를 바르게 파악하며 글을 읽어야 한다. 2. 글의 표현 방.. ♣ 산마을 詩情 산책/문학창작도움방 2019.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