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山野草 이야기/산약초 효능 547

산약초의 효능100가지

약되는 나무들 100가지 1.복분자 : 신기허약으로 인한 유정, 몽정, 양기부족, 간신허로 인한 시력약화 2.가시오가피 : 비장, 신장, 관절염, 신경쇠약, 항방사능, 항스트레스, 면연력강화 3.가지 : 혈중콜레스테롤저하 ,타박, 종창, 치통, 해열 등 4.각시둥글레 : 구갈, 열병으로 인한 음기 손상, 구갈, 폐결핵, 당뇨 등 5.갈근 : 발열, 두통, 갈증해소, 소갈증, 이질, 설사, 중이염 등 6.갈대 : 열병으로인한 구갈, 가래, 폐열로 인한 해수, 곽란, 구역질 등 7.감귤 : 소화력증진, 위통, 간염, 위염, 유방염, 유방암 등 8.감초 : 보비, 윤폐, 익정, 양기, 청열, 해독, 거담, 지해, 하기 등 9.강황 : 어혈제거, 생리통 10.건강(생강) : 건비, 건위, 해표, 통맥, 하기, ..

구찌뽕

구찌뽕 구찌뽕의 효능 오늘은 구찌뽕의 효능에 대해 포스팅하료고 합니다. 방송매체를 타면서 구찌뽕의 효능이 많이 알려졌는데 어떤 효능이 있나 알아보겠스니다. 구찌뽕의 잎과 줄기 뿌리는 봄부터 늦가을까지 수확이 가능합니다. 뽕나무 과에 속하는 구찌뽕나무는 잎과뿌리가지,열매 그어느것하나 버릴것이 없어 여러모로 활용이 가능합니다.예로부터 우리나라에는 줄기와 뿌리부분은 약재로 사용하고 잎은 식품으로 사용했다고 합니다.먼저 잎은 시력보험와 피부미용에 효능이 있고 뿌리와 가지는 관상동맥경화나 동맥경화,고혈압,오십견에 좋아 마비를 풀어주는 효능이 알려져 있습니다. 구찌뽕나무는 뽕나무의 일종이라,뽕나무와 유사하다고 느껴지기도 하는데나무줄기를 보면 가시가있는것이 구찌뽕입니다. 잎에는 숨털이있고 두꺼운게 특징입니다. 구찌뽕..

갈화-칡꽃

■ 칡꽃의 효능'~♡ 칡꽃은 '갈화'라고 불리우며 몸의 독을 해결하여 주는 약재라고 합니다. 칡보다 먹기 좋고 먹는데 수월하여 차로 마시기 적합하기에 칡꽃차 만드는법을 설명하고 건강에 도움이 되는 칡꽃효능을 살펴보기로 합니다. ▶ 칡꽃차 만드는 방법 - 꽃송이 중간까지 피었을때 건조하는것이 좋습니다. 1. 생칡꽃을 이용하여 만들기 - 생칡꽃을 서너송이 뜨거운 물이 담긴 찻잔에 넣고 우려 먹거나 끓는물에 생칡꽃을 넣은후 약한불로 4~5분 가량 더 끓여 유효성분을 우려낸후 보리차처럼 마시면 됩니다. 2. 건칡꽃을 이용하여 만들기 - 칡꽃을 씻어 찜통에 꽃을 얹어 약 3분 가량만 찐후 그늘에 말려줍니다. 혹은 그냥 말려도 됩니다. 차로 먹을때는 찻잔에 우려먹거나 끓는물에 5분더 달여 보리차처럼 드십니다. 3...

신비약재 침향

신비의 약재 침향 침향의 원산지는 인도차이나지역이다. 예전에는 베트남에서 생산된 침향을 캄보디아 앙코르 왕국에 조공으로 바쳤다고 한다. 베트남에서는 당시에 좋은 침향을 구하기 위해 호랑이를 산채로 잡아 상처를 입혀 풀어준 뒤 호랑이가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밀림 속 침향나무를 찾아 핥아먹는 것을 골랐다고 한다. 그렇게 상처난 호랑이를 통해 구한 침향은 앙코르 왕국으로 보내지곤 했다. 우리나라에서도 예부터 침향을 귀한 약재로 여겼다. 세종실록을 보면 영의정 김전이 몸이 위독해 침향으로 조제한 탕약이 필요했으나 구하지 못해 병이 점점 악화됐는데, 이때 왕인 중종이 침향강기탕을 하사해 목숨을 구했다고 적고 있다. 이렇듯 귀한 약재인 침향은 어떻게 약용으로 사용되는 것일까? 침향은 체온이 일정 온도 이상 되면 기..

부처손

♣부처손의(바위손)의 효능 ♣ ▶부처손은 부처손과에 딸린 늘푸른 여러해살이풀이다. ▶마른바위에 붙어서 자라는데 비가와서 물기가있으면 새파랗게 살아나도 가물면 잎이 공처럼 둥글게말라 오그라들어 죽은 것처럼 보이나 몇년씩을 죽은듯이 있다가 비가오면 다시활짝 잎이 펴지면서 파랗게 피어나는 신비스러움이 경이롭기 그지없는 약초이다 ▶만년송, 만년초, 장생불사초, 불사초, 회양초, 교시,등의 많은이름으로 불리고 한약명으로는 권백이라고 부른다. ▶부처손은 맛은맵고 성질은평하고 독이없다.볶은것은 맛이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생것을쓰면 파혈하고 볶아서쓰면 지혈하는 효능이있다. ▶생것을쓰면 무월경,타박상,복통,천식를 치료한다. ▶검게 볶아서쓰면 토혈,변혈,요혈,탈항을 치료한다. ▶하루 2~12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

오디

오디의 효능(뽕나무열매) ※ 오디는 맛이 대단히 좋고 풍부한 포도당, 사과산 등이 함유되어 있어서 구황식물임 (삼국지에서는 장패가 말린 오디로 조조 대군을 구원하였다는 기록이 있음) ※ 오디는 달고 차고 독이 없으며 이것만 먹어도 당뇨병을 치료한다. ※ 오디는 오장,관절을 이롭게 하고 혈기를 통하게 한다. 오래 복용하면 허기지지 않는다. 많이 채취하여 햇볕에서 말려 가루를 내고 꿀로 환을 만드러 매일 60알씩 먹으면 백발이 검어지지 않는 노인이 없다. ※ 뽕나무의 용도가 매우 많으나 뽕나무의 정령은 오디에 있다. 오디를 따서 잘게 갈아 베로 걸러 찌꺼기를 없애고, 즙을 돌그릇 중에서 졸여 엷은 고약으로 만들고 꿀을 다소 넣고 다시 졸여 진한 고약으로 만드어 옹기 중에 넣고 두고 1~2알씩 식후 또는 취침..

오자의 기능과 작용

오자(五子)의 效能과 작용 오자는 오미자·차전자·구기자·복분자·토사자.를 말한다. 이들은 신장을 보하여 남성의 정기를 강화하는데 효과가 뛰어나다. 1.오미자 ‘동의보감’에 ‘오미자는 남자의 정기를 돋우고, 그것으로 만든 조청은 정기를 수렴해 몽정·유정·활정을 다스린다’고 씌어 있다. 오미자가 간세포의 단백질 합성을 자극해 정력을 증강시키는 것. 이 때문에 사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소변 볼 때 정액이 섞여 나와 소변 색이 뿌연 사람에게는 오미자가 안성맞춤이다. 2.복분자 복분자는 산딸기의 일종인 고무딸기를 가리킨다. 복분자술을 담가 마시면 주체하기 힘들 만큼 오줌발이 강해 요강이 뒤집어진다는 데서 ‘복분’(넘칠 覆, 요강 盆)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이 복분자술이 스태미나식의 대표격인 장어와 곁..

삼지구엽초

삼지구엽초,삼지구엽초효능과 복용법,삼지구엽초 엑기스(즙) 삼지구엽초(음양곽)효능과 복용법 삼지구엽초 (三枝九葉草) 음양곽(淫羊藿), 방장초(放杖草), 선약초(仙藥草), 선령비(仙靈脾), 삼지구엽풀, 강전, 천량금, 기장초등 여러 이름으로 불립니다.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줄기의 가지가 3개로 갈라지고 그 가지 끝에 각각 3개씩, 모두 9개의 잎이 달려서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라고 합니다. 4~5월에 옅은 자주색 도는 황백색의 꽃이 원줄기 끝에서 아래를 향하여 매달려 핍니다. 삼지구엽초(음양곽)는 여름철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약으로 씁니다. 높은 산 바위틈에 자라는 것이 효과가 더욱 좋습니다. 삼지구엽초,삼지구엽초효능과 복용법,삼지구엽초 엑기스(즙) 삼지구엽초(음양곽)효..

하늘의 문을 여는 천문동

≪하늘의 문을 여는 천문동 ≫ 천문동 잎이 추위에 누렇게 말라 오그라들었다. 마치 빗자루를 거꾸로 세워 놓은 것 같다. 그러나 뿌리를 캐어 보니 손가락만한 덩이뿌리들이 제법 실하게 달렸다. 변산 일대에는 천문동이 많다. 천문동은 변산을 대표할 만한 약초다. 천문동(天門冬)이라는 이름은 하늘의 문을 열어주는 겨울약초라는 뜻이다. 하늘의 문을 여는 약초! 몸이 가벼워지고 정신이 맑아져서, 즉 신선처럼 되어서 하늘로 오를 수 있게 한다는 약초가 바로 천문동이다. 잎과 줄기는 아스파라거스를 닮았고 뿌리에는 작은 고구마처럼 생긴 덩이뿌리가 여러 개 달렸다. 이 덩이뿌리가 옛부터 늙지 않고 병들지 않게 하는 약, 곧 신선이 되게 하는 것으로 이름난 약초다. 조선 세종 때 펴낸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는 ‘신선방..

산부추

[산부추의 잎, 줄기, 갓올라온 꽃봉오리, 꽃봉오리, 꽃, 열매, 종자, 뿌리의 모습, 사진출처: JDM 촬영 및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 건위작용, 콩팥 기능 항진작용, 열을 내리는 작용, 소변을 참지 못하거나 자주 보는 사람에게 유효, 건위개위, 보신축뇨, 비위기허, 음식감소, 신허불고, 소변빈삭, 항균소염, 창, 옹, 절종, 화농성질환. 갑상선질환, 노인의 허약체질을 다스리는 산부추 산부추는 산지의 풀밭에서 자라며 8~9월에 꽃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 각처와 중국, 일본, 대만 등지에도 자란다. 산부추의 학명은 이다. 백합과 파속은 전세계에 약 30종이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백두부추, 양파(둥글파, 옥파), 노랑부추, 파, 산달래(달래), 달래(애기달래), 참산부추, 산파, 조선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