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休 心 停<휴심정>/세계문화유산탐방 53

한국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世界記錄遺産) 1 - “훈민정음(訓民正音)”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世界記錄遺産) 1 - “훈민정음(訓民正音)” ▣ 국보 제70호, 별칭 : 훈민정음해례본, 훈민정음원본이라고도 한다. 전권 33장 1책. 목판본. 간송미술관 소장 [ 정 의 ] 새로 창제된 훈민정음을 1446년(세종 28) 정인지(鄭麟趾) 등이 세종의 명으로 설명한 한문해설서. [ ..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世界記錄遺産) ]에 대하여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世界記錄遺産) ] ○ 배 경 유네스코는 1992년 ‘세계의 기억(Memory of the World: MOW)' 사업을 설립하였다. 이 사업은 기록유산의 보존에 대한 위협과 이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고, 세계 각국의 기록유산의 접근성을 향상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전쟁과 사회적 변동, 그리..

한국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2 - '해인사 팔만대장경'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2 - '해인사 팔만대장경' (해인사 장경판전) 해인사 장경판전은 13세기에 만들어진 유네스코지정 세계기록유산인 고려대장경판(팔만대장경판) 8만여장을 보존하는 보고로서 해인사의 현존 건물중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장경판전은 정면 15칸이나 되는 큰 규..

한국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1- 불국사(佛國寺)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1- 불국사(佛國寺) 불국사(佛國寺)는 경북 경주시 진현동 토함산(吐含山) 기슭에 있는 신라시대의 절이다. 이 절은 신라 경덕왕(景德王) 10년(서기 751년)에 김대성(金大城)이, 전세(前世)의 부모를 위하여 석굴암(石窟庵)을, 현세(現世)의 부모를 위하여 불국사..

한국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山) 14 - “한국의 서원(書院)”

조선 시대 교육기관인 「한국의 서원(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지난 6월 30일부터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개최되고 있는 제43차 세계유산위원회(6.30.~7.10.)는 현지 시각으로 7월 6일 오후 「한국의 서원」을 세계유산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

한국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13 - "한국의 산사(山寺), 산지 승원(僧院)"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13 - "한국의 산사(山寺), 산지 승원(僧院)" 산사(山寺)는 한반도 남쪽 지방에 위치한 7개 불교 산지 승원으로 통도사, 부석사, 봉정사, 법주사, 마곡사, 선암사, 대흥사로 이루어져 있다. 7세기에서 9세기에 창건된 이들 7개 사찰은 신앙과 영적 수행, 승려 공동체..

한국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12 - "백제역사 유적지구 "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12 - "백제역사 유적지구 " 백제역사유적지구(Baekje Historic Areas)는 공주시, 부여군, 익산시에 있는 백제 관련 역사유적지구이다. 2015년 7월 4일 독일 본에서 열린 제39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에서 세계유산 등재 심사를 최종 통과하여 대한민국의 12번째 ..

한국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11 - "남한산성(南漢山城)"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11 - "남한산성(南漢山城)"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산성. 흔히 북한산성(北漢山城)과 함께 조선의 도성인 한양의 방어를 위하여 쌓은 산성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의 발굴조사 결과, 8세기 중..

한국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10 -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10 -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 한라산의 봄 ] 제주도는 약 180만 년 전부터 역사시대에 걸쳐 일어난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진 섬으로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지역은 한라산, 성산일출봉, 거문오름용암동굴계이다. 한라산은 남한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서 화산활..

한국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9 - 안동 '하회마을'· 경주 '양동마을'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9 - 안동 '하회마을'· 경주 '양동마을' [ 부용대에서 바라본 안동 하회마을 ] [ 경주 양동마을 ] 한국의 역사마을에는 씨족마을, 읍성마을 등의 다양한 유형이 있으나 그 중에서 씨족마을은 전체 역사마을의 약 80%를 차지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역사마을 유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