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복화(旋覆花) / 금불초
익생양술에서 "금불초"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선복화(旋覆花) / 금불초"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우리명 금불초
학명. Inula britannica var. chinensis
과명. 국화과
생약명 선복화(旋覆花)A
분포
전국 각지채취기간7~10월(개화기)키10~60cm취급요령햇볕에 말려 쓴다.생지들과 밭의 습지성미따뜻하며, 맵고 쓰다.분류여러해살이풀독성여부없다.번식분근ㆍ씨1회사용량꽃 5~6g약효꽃사용범위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가는금불초ㆍ가지금불초
잎
어긋나는데 뿌리잎과 밑 부분의 잎은 중앙부의 잎보다 작으며 꽃이 필 때 스러진다. 잎자루는 없다. 중앙부의 잎은 길이 5~10cm, 나비 1~3cm로 큰데 긴 타원형 또는 댓잎피침 모양의 긴 타원형이며 끝이 약간 뾰족하고 밑이 갑자기 좁아져서 줄기를 감싼다. 양면에 누운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꽃
7~9월에 노란색의 두상화가 줄기 끝과 가지 끝에 산방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차례받침은 반구형이며 꽃턱잎에 해당하는 포린(苞鱗)은 5줄로 배열되는데 거의 같은 길이이고 모두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혀꽃의 크기는 길이 16~19cm, 나비 1.5~2mm이다.
열매
8~10월에 수과가 달려 익는데 10개의 능선과 더불어 길이가 5mm쯤 되는 갓털이 있다.
특징 및 사용
금비초(金沸草)ㆍ하국(夏菊)ㆍ하국꽃이라고도 한다. 금불초라는 이름은 꽃이 황금빛처럼 노랗다고 하여 붙여졌다. 전체에 누운털이 산재해 있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하고 줄기는 곧게 선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꽃은 대개 완전히 말려서 가루로 만들어 쓰는데 말린 꽃을 선복화라고 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복용 중에 구리때를 금한다. 또한 냉병ㆍ설사ㆍ해수를 앓거나 몸에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기ㆍ호흡기 질환을 다스린다.
건위 곽란 구역증 구토 녹내장 누낭염 누안 담
명목 방광염 복수 소화불량 식적창만 예막 위장염
유방염 이뇨 천식 해수 흉통
'♣ 山野草 이야기 > 산약초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화과 나무 (0) | 2016.12.23 |
---|---|
산딸기 (0) | 2016.12.21 |
수리취의 효능 (0) | 2016.12.18 |
맥문동 효능및 복용방법 (0) | 2016.12.18 |
약초별 쓰임세 정보 (0) | 2016.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