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인 체질>
1.외모
소음인(少陰人)은 얌전하고 예의가 바르며 모든 일을 정확하게 하는 특성이 있다. 체형은 엉덩이 부위가 크고 가슴이 좁고 빈약한 편이며 안정감이 있고 차분한 편이며 체구는 대체로 작고 전반적으로 몸이 마른 사람도 있으며, 간혹 키가 큰 사람도 있으나 몸이 마르고 소화기능이 약하여 많이 먹지를 못한다. 얼굴의 형은 작고 이목구비도 작으며 오밀조밀하고 단정하며 야무져 보이고 정확하고 빈틈이 없어 보이며 동양적인 미인들이 많다.
2.성격
소음인은 모든 일에 정확하고 예의에 벗어나는 일을 하지 않는 원칙론적인 체질로 매사에 치밀하고 꼼꼼하며, 단정하고 야무지며, 가까운 사람끼리 무리를 잘 조직하고 모으며, 모든 일을 세밀하고 분별해 내며, 밖에서 활동하기 보다는 사무실이나 집에 들어앉아 일하기를 좋아하고, 여성적인 면이 많고, 온순하고 다정다감하며, 잔 재주가 많으며 가정적이다.
반면에 편안하고 안일한 것을 좋아하고, 남성적인 적극적이고 활동적인 면이 적으며,매사를 너무 정확하게 하려다 보니 마음이 편할 날이 없으며, 한번 상처를 받거나 기분 나쁜 것이 잊혀지지 않아 정신적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며,개인주의나 이기주의가 강하고, 남의 간섭을 싫어하고 이해타산에 얽매이며,질투심이나 시기심이 많다
3.체질별음식
좋은 음식
따뜻한 음식, 재래식 음식, 채소류(따뜻하게)
닭고기, 양, 염소, 노루, 꿩, 보신탕 (중풍, 혈압, 당뇨 병자는 금함)
명태, 북어, 미꾸라지, 도미, 조기, 멸치, 민어, 병어
대추, 사과, 귤, 복숭아, 토마토, 오렌지, 유자,
시금치, 미나리, 양배추, 쑥갓, 파, 마늘, 생강, 고추, 겨자
후추, 카레, 찹쌀, 조, 감자
인삼차, 생강차, 유자차, 계피차, 꿀차,
<< 한약재 >> 인삼, 홍삼, 황기, 당귀, 천궁, 계피, 감초
3,나쁜 음식 (괄호 속의 병이 있을 때는 특히 주의하세요)
찬 음식, 청량음료, 아이스크림, 빵류, 면류, 인스턴트 식품, 통조림 등
메밀, 배추 ( 기침, 급성 위염, 신장염)
쇠고기, 우유 (감기, 기관지염, 맹장염, 치질)
배, 수박, 참외, 오이, 풋과일 ( 딸꾹질, 설사, 손발이 찰 때 )
고구마, 밤, 호도 ( 소화불량 )
녹두, 보리, 팥 ( 설사, 소화불량 )
돼지고기 (소화불량, 위장염 )
4.건강차
소음인은 몸이 차고 위장의 기능이 약한 관계로 따뜻한 성질의 약재가 차로 마시기에 좋다.
인삼차는 소음인 에게는 명약으로 기를 보해주고 소화기능도 도우며 손발을 따뜻이 해주며,
생강차는 소화기능과 혈액순환을 돕고 감기에 좋으며,
귤차, 유자차, 레몬차는 소화기능을 돋고 기의 운행을 도우며,
대추차는 위의 기능을 돋고 마음을 안정시키며 진액을 보충해 주고,
꿀차는 폐와 장의 진액을 보충해 주고,
당귀차, 천궁차는 보혈을 하여 몸 안의 피를 공급해 주고,
계피차는 내장과 손, 발을 따뜻이 해주고, 두충차는 하초 기능을 튼튼히 하고 뼈를 강하게 해준다.
인삼, 대추, 생강을 같이 섞어서 차로써 마시면 보기, 보혈에 좋다.
< 약선 >
보양식 닭고기, 오골계 양, 염소, 노루, 꿩, 보신탕 (중풍, 혈압, 당뇨 병자는 금함)
건강식 명태, 북어, 미꾸라지, 도미, 조기, 멸치, 민어, 병어
과일 대추, 사과, 귤, 복숭아, 토마토, 오렌지, 유자,
야채 시금치, 달래, 냉이, 쑥 미나리, 양배추, 쑥갓, 파, 마늘, 생강, 고추, 겨자 후추, 카레,
곡류 찹쌀, 조, 감자
소음인차 인삼차, 생강차, 유자차, 계피차, 꿀차,
한약재 인삼, 산삼, 홍삼, 장뇌삼, 황기, 당귀, 천궁, 계피, 감초 하수오 옻나무
계획표를 잘 만들어 조직적으로 공부하는 소음인
소음인의 경우는 사과와 대추
우리나라 사람들을 체질별로 분류했을 때 20%정도가 소음인에 해당한다. 상체보다는 하체가 튼튼하며
위와 아래의 균형이 잘 잡혀 있다. 소음인은 다른 체질에 비해 키가 작은 편이지만 가끔 큰 사람도 있다.
피부가 매우 부드럽고 땀이 적으며 겨울에도 손이 잘 트지 않는 특징이 있는 소음인은 꼼꼼한 성격으로
매우 조직적이며 사무적이다. 머리가 좋고 총명해 판단력이 빠르고 자기가 맡은 일은 빈틈없이 처리하고
윗사람의 비위를 잘 맞추는 편이다.
계획표를 잘 만들어 실천을 잘 하기에 언제나 주위에 사랑을 받지만 이 같은 꼼꼼한 성격 탓에
자기가 한 일에 남이 손대는 것을 가장 싫어하고 남이 잘하는 일에는 질투가 심해 오해를 받기도 쉽다.
흔히 꽁생원이라는 소리를 듣는 소음인은 실제로 꽁생원이라는 소리를 많이 듣는 교육 직종인
학교 선생님이나 교수직에 종사하는 이가 많다.
<사과> <대추>
이런 소음인에겐 소화하기 쉽고 따뜻한 성질의 식품이 좋다.
조리할 때에는 자극성 있는 조미료를 사용해서 식욕을 북돋워 주는 것이 소화에 이롭다.
과일로는 사과, 귤, 오렌지, 토마토, 복숭아, 대추가 좋다.
그와 반면 참외, 수박, 멜론, 감, 곶감, 포도, 밤, 잦, 배, 바나나는 좋지 않다.
대표적으로 좋은 과일은 사과와 대추이다. 사과는 따뜻한 성질로 속을 편하게 하고 갈증을 없애며
위장을 튼튼하게 한다. 따라서 다른 과일보다 소화흡수가 잘돼 몸이 차고 소화기능이 약한 소음인에게 좋다.
또한 누적된 피로를 풀어 주고, 식욕을 증진 시키며, 쾌변을 촉진시켜 설사를 멈추게 해준다.
대추는 쇠약한 몸의 기능을 회복시켜주고 신경을 안정시키며 노화를 방지하여 젊음을 유지시켜주는 힘이 있다.
또한 빈혈, 신경쇠약, 식욕부진, 불면증, 냉증에 좋다. 비위 기능이 약하고 몸이 찬 소음인에게 제격인 것이다.
비타민 등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게 들어 있는 과일
사상체질에 따라 태양인의 경우는 감이나 모과, 소양인은 복숭아와 배, 태음인은 밤과 은행,
소음인은 사과와 대추를 주로 먹자.
이는 체질별로 잘 골라 먹어야 건강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언제 어디서나 신선한 과일을 먹을 수 있는 지금. 아무리 영양이 풍부한 과일이라도
체질에 맞지 않는 것을 선택한다면 건강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
'♣ 山野草 이야기 > 편리한 민간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질별로 챙기는 가을 건강 (0) | 2020.11.17 |
---|---|
생활속 유용한 응급 처치법 10가지 (0) | 2020.11.13 |
사상체질 감별법 (0) | 2020.10.24 |
불면증 민간 요법 (0) | 2020.10.19 |
손발이 찬사람이 조심해야 할 5가지 (0) | 2020.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