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이미지화하기
☺ 원시 시대는 언어와 사물이 하나로 결합된 상태였습니다. 이를 회복시키는 방법이 바로… |
시인은 ‘바다여!’하고 부르면 실제로 짙푸른 파도가 밀려오고, ‘파도여, 멈추어라’라면 조용해지길 꿈꿉니다.
그래서 저도 언젠가 태풍 속에 휘날리는 치자꽃을 표현하기 위해
<!--[if !supportEmptyParas]--> <!--[endif]-->
팔랑 팔랑 하양 팔랑 팔랑 팔랑 하양 팔랑 팔랑 팔랑 하양 팔랑 팔랑 팔랑 하이양 하양 팔랑 팔랑 하양 하양 하이양 팔라당 팔랑 팔랑 팔랑 하이양 하이양 팔랑 팔랑 팔라당 하양 팔랑 팔랑 팔랑 팔랑 팔랑 팔랑 팔랑 하양 하양 하양 팔랑 팔랑 팔랑 하양 팔랑 팔랑 팔랑 하이양…
<!--[if !supportEmptyParas]--> <!--[endif]-->
이라고 써봤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써도 ‘치자꽃’이라는 말은 치자꽃으로 바뀌지 않대요.
이 장에서는 먼저 추상화된 언어에 사물성(thingness)을 회복시키기 위해 작품은 어떤 과정을 거쳐 전달되며, 이미지에는 어떤 유형이 있는가 알아본 다음 이제까지 써온 작품들을 이미지화시켜 보기로 합시다.
1. 이미지화의 필요성
19세기까지 시는 ‘시인의 사상과 감정을 운율적인 언어로 표현한 것’이라고 정의해 왔었습니다. 그러나, 20세기로 접어들면서 이런 정의는 차츰 흔들리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자유시가 등장하면서 시 창작 방법이 운율 배제하고 이미지(image)를 중시하는 쪽으로 바뀌왔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대시를 중심으로 정의를 내리면, <시란 시인의 사상과 감정을 심상적(心象的) 언어로 표현한 것>이라고 바꾸어야 할 것입니다.
이와 같이 시가 이미지 중심으로 바뀐 데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으나 보다 근본적인 것은 아래와 같이 언어가 추상적 기호에 불과함을 자각했기 때문이라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시 인
↙(subject : S)↘
↙ ↘
↙ ↘
언 어 ⇠ ┈┈┈┈┈┈┈┈┈ 관련 사물
(Language: L) 자의적 관계 (Object : O)
<!--[if !supportEmptyParas]--> <!--[endif]-->
위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인은 어떤 생각(S)을 떠올리면 자동적으로 관련된 언어(L)와 사물(O)를 떠올립니다. 그리고 어떤 사물(O)을 접해도 거의 자동적으로 그에 대해 생각하고(S), 사고는 언어로 이뤄지므로 관련된 언어(L)를 떠올립니다. 그래서 근대까지 대부분의 시인들은 독자들이 작품을 읽으면 관련 사물과 자기 생각을 이해하리라고 믿어 왔습니다.
그러나 독자들의 입장에 서면 사정은 전혀 달라집니다. 독자들이 처음 접하는 것은 시에 쓰인 언어(L)입니다. 그리고 이 언어는 의미를 강제로 결합시킨 기호이고, 독자들은 기호를 통해 시인이 지시하는 사물이나 관념을 떠올려야 합니다.
이때, 독자들은 문맥(context)의 전후 관계를 살피면서 작품에 쓰인 어휘와 자기가 알고 있는 어휘의 의미를 대조하기 시작합니다. 독자가 적용하는 어휘의 의미는 <사전적(lexical)>이고, <일상적(ordinary)>이며, <지시적(denotation)>입니다. 반면에 시인이 작품 속에서 사용하는 어휘는 <개인적(personal)>이고, <특정적(specific)>며, <함축적(connotation)>입니다. 그리고, 어휘의 양이나 배경 지식은 물로 경험과 의식구조 역시 달라 제대로 전달되는 경우가 드뭅니다. 그로 인해 시인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언어로 그림을 그려 보여주는 방향 쪽으로 바뀌게 된 것입니다.
물론 언어의 추상성 때문에 고통을 받은 것은 현대 시인들만이 아닙니다. 과거의 시인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로 접어들어 새삼스레 문제가 제기된 것은 자유주의 내지 개인주의 사상이 팽배함에 따라 시의 화제가 <보편적인 것→특수한 것>, <공적(公的)인 것→사적(私的)인 것>, <시적인 것→비시적인 것>, <자연적인 것→기계적인 것>으로 바뀌고, 각성(覺醒)한 상태에서 읽도록 만들기 위해 운율을 제거한 데다가, 독자들 역시 시인으로부터 설교를 듣기보다 스스로 보고 판단하려는 쪽으로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러시아 시인 포테브냐(A. Poteb-nya)가 이미지 없는 시는 상상할 수 없다며 절대론을 주장한 것도 이 때문입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①일상적 언어로 쓰되 정확한 언어(exact word)로 쓸 것. 모호하거나 장식적(裝飾的)인 말은 사용하지 말 것.
②새로운 운율이 새로운 사상임을 자각하고, 새로운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새로운 자유시 리듬을 창조할 것. 우리가 자유를 위해서 싸우듯, 자유시를 위해서 투쟁할 것.
③시의 제재 선택에서 자유로워질 것. 그러나 비행기와 자동차 같은 것들만 새로운 제재라고 생각하지 말 것.
④가능한 명확한 이미지로 대상을 개별화하여 그릴 것. 그러나 사물을 그대로 그리는 화가의 한 유파는 아님.
⑥긴축(緊縮)과 집중(集中)을 시의 본질로 받아들일 것.
<!--[if !supportEmptyParas]--> <!--[endif]-->
이와 같은 이미지의 기능은, 첫째로 시의 의미를 육화(肉化, incarnation)화는 기능을 꼽을 수 있습니다. 그것은 다음 작품을 살펴봐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꼬리가 이루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이 작품을 읽어보면 잔물결이 재재발리며 흩어지는 여울목 풍경이 눈앞에 선히 떠오릅니다. 그것은 언어로 시적 대상을 재현했기 때문입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자아, 그럼 이제까지 쓴 작품들을 이미지화하면서 고쳐 보기로 합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 休 心 停<휴심정> > 알짜 뉴스, 만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권 코로나 급속 확산 (0) | 2020.08.16 |
---|---|
국정원정 내정자 박지원 (0) | 2020.07.03 |
‘국민 밉상’ 정치인 퇴출 (0) | 2020.04.26 |
심상정 노회찬 묘소 참배 “꿋꿋이 가라고 격려하는 듯” (0) | 2020.04.13 |
‘세월호 막말’ 차명진 제명 결정에 “김종인 사퇴” “황교안 낙선운동” 통합당 홈페이지 ‘부글부글’ (0) | 2020.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