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정권 위기 처하자..DJ·盧 전직 대통령 뒷조사까지
[뉴스데스크] ◀ 앵커 ▶
이명박 정부 당시 국정원은 김대중, 노무현 두 전직 대통령에 대한 뒷조사를 벌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같은 전직 대통령 뒷조사는 과거 권위주의 정권의 북풍이나 총풍 사건처럼 선거에 악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명박 정부가 기획했던 것으로 MBC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먼저 강연섭 기자의 보도 보시고 이어가겠습니다.
◀ 리포트 ▶
지난 2010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이명박 정부 국정원은 김대중, 노무현 두 전직 대통령에 대한 뒷조사를 본격화합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책임론과 대북 강경책 실패에 대한 비판 고조로 선거 패배가 예상되자 이를 돌파할 수단으로 활용하려 한 겁니다.
실제로 원세훈 전 원장은 이현동 당시 국세청 차장에게 자금을 지원하겠다며 국세청 조직을 동원해 김대중 전 대통령의 해외 비자금을 찾아내 줄 것을 요청합니다.
이후 국세청이 비자금 추적에 나섰고, 국정원은 국세청 직원으로 위장해 미국 측 정보원에게 수시로 거액을 건냈습니다.
하지만 2010년 4월부터 2년 동안 계속된 뒷조사는 김 전 대통령이 미국에 숨겨뒀다는 비자금에 대한 아무런 실체도 찾지 못한 채 단지 7억 원의 국고만 탕진한 채 끝이 났습니다.
지방선거에 활용하려던 김 전 대통령에 대한 뒷조사가 실패하자 이번엔 노무현 전 대통령을 흠집 내기 위한 공작이 시작됩니다.
이 역시 2012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시작됐습니다.
사행성 도박인 '바다 이야기' 사건 이후 필리핀에 도주한 사건 관련자를 국내로 송환해 노 전 대통령과의 관련성을 폭로하고 노 전 대통령 추모 분위기를 꺾자는 의도입니다.
하지만 이번에도 국정원의 바람과 달리 노 전 대통령과 바다이야기의 관련성은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두 전직 대통령에 대한 파렴치한 뒷조사가 오직 지방선거와 총선에 이용하기 위한 정치 공작이었다는 사실을 확인한 검찰은 국정원과 국세청을 동원한 뒷조사를 이명박 전 대통령이 지시하거나 보고받았는지도 향후 조사를 이어갈 방침입니다.
'♣ 休 心 停<휴심정> > 알짜 뉴스, 만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7.11 장도리 (0) | 2018.07.11 |
---|---|
중앙만평(2018.6.18) (0) | 2018.06.18 |
직업군과 학점 정해진다. (0) | 2017.12.19 |
"MBC '세월호 보도참사' 사죄드립니다" (0) | 2017.12.13 |
그린란드 빙하가 사라진다..지구 해수면 7m 상승 '재앙' (0) | 2017.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