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山野草 이야기/산약초 효능

황기

산마을 풍경 2017. 11. 22. 12:20

황기의 효능과 작용



황기의 학명과 이름:

황기(黄芪 )는 학명이면서 역시 약명이다.


황기의 별명:

황기의 별명은 여러가지가 있다.

면기,황기,독진,독지,백본,백약면,황삼 ,혈삼,인계 등등이 있다.

(棉芪,黄耆,独椹,蜀脂,百本,百药棉,黄参,血参,人衔等 )


황기의 성미와 귀경:

성미:약간 달큰하고 약간 온화하다

귀경:페, 비장, 간 ,콩팥의 경락을 관계한다.



황기의 중의학적효능:

1.콩팥이 약하여 귀먹은것을 돌려 세운다.

2.결혼후 남편이 허약해진데 보해준다

3.음기를 보해준다.

4.한열병에 아주 좋다

5.상처가 오래 아물지 않을때 아주 좋다

6.고기가 자라게 하고 피를 보충해 준다

7.기를 도와주고 힘줄을 강하게 한다

8.하혈을 치료하고 백대에 피가 섞여 나가는 병을 치료한다.

9.페와 심장의 열을 내리운다.

10.산전산후의 모든병에 다 쓰인다.

11.식은땀과 도둑땀을 치료한다.



황기의 약학적 작용:

1.신체가 허약하여 쉴새없이 땀이 흐르는 병을 치료한다.

2.음기가 약하고 신이 허하여 도둑땀을 흘리는 병을 치료한다.

3.급성신염과 수종을 치료한다.

4.양기가 허약한 병을 치료한다.

5.치질에 걸려 피가나거나 궤양으로 피가 나는 병을 치료한다.

6.만성신염과 수종을 치료한다.

7.페기가 허약하여 헐떡거리는병을 치료한다.

8.기가 약하고 허하여 기진맥진하며 자궁탈수와 항문탈수를 치료한다.


기가 약하고 맥이 없고 피곤한 사람

1.중병아리 두마리 ,2.황기 30그람, 3.인삼 한뿌리(4년생이면 된다)4.대추 20알,5.구기자 25그람,

6.오미자 12그람 7.당귀 20그람 8,진피 15그람 을 넣어서 푹곤다 대략 약한불에 80분을 고으면 된다

고기와 약재를 함께 먹는다 세번에 나누어 먹는다.한주에 두번내지 세번 해 먹되 모두 스무번을 해먹는다.

효과가 아주 좋다.역시 강장제의 일종이다.


황기의 먹지 말아야 하는 사람과 주의 할점:

1.더워도 땀이 안나는 사람음 먹지 말아야 한다.

2,속열이 특별히 센 사람은 먹지 말아야 한다

3.아무리 더운 날씨에도 땀나는 일이 없는 사람은 먹지 말아야 한다.

4.변비가 엄중하거나 변비역사가 3년이상인 사람은 먹지말아야 한다.

5.윗몸이 덥고 아래몸이 차가운 사람은 엄금한다.

6.늘 소화가 안되고 체기가 많은 사람은 먹지 말아야 한다.

7.겨울에도 추위를 안타고 더워하는 사람은 먹지 말아야 한다.



황기의 일부 처방들:

1.식은땀이 늘 나는 사람이 황기와 오미자와 귤껍질로 차를 만들어 늘 마시면 효과가 아주 좋다.황기 오미자 귤껍질을 일대일의 비례로 하여 물에 끓이되 단것을 즐기면 흑설탕을 넣어 먹으면 아주 좋다.일반적으로 10그람씩 넣어서 세번내지 네번 우려 먹고 버린다

2.늘 도둑땀을 흘리는 사람은 황기오미자 차를 마시는 외에 위에서 소개한 병아리 황기고음을 많이 먹으면 병이 낫는다.

3.무릎이 아프고 어리가 아플때:

황기 20그람 독활 20그람 진피 20그람 대추 20그람 구기자 20그람 오미자 20그람 당귀 20그람 도라지 20그람

감초 20그람을 다려서 먹되 재첩을 해서 먹고 하루 두번 먹으며 20일을 먹으면 한개 요정이다.


'♣ 山野草 이야기 > 산약초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초향  (0) 2017.11.27
갈매나무  (0) 2017.11.22
소화불량에 좋은 삽주, 항암 효과도  (0) 2017.11.22
소태나무  (0) 2017.11.19
황칠 효능  (0) 2017.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