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담초 효능 ◈
▶ 효 능 ◀
건위, 창종, 개선, 간질, 도한, 경풍, 회충, 심장병,
습진, 위염, 위산과다증. 위산과소증. 위 카타르. 위질환.
▶ 특 성 ◀
용담과의 여러해살이풀로 8∼10월에 보라색꽃을 피운다.분포지역은
전국의 산과 들 대개는 산기슭의 초원에 자란다. 특징으론
줄기에 4개의 가는 줄이 있으며, 뿌리 줄기는짧고 굵은 수염뿌리가 있다.
키는 30~50㎝로 줄기에 가는 줄이 있으며, 굵은 뿌리를 가진다.
잎은 마주나지만 잎자루가 없고 2개의 잎 기부가 만나
서로 줄기를 감싸고 있으며 잎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종(鐘)처럼 생긴 꽃은 8~10월 무렵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몇 송이씩 모여 푸른빛이 도는 자색으로 핀다. 통꽃이지만
꽃부리는 5갈래로 조금 갈라지고 갈라진 사이에 조그만 돌기가 있다.
수술은 5개로 꽃통에 붙어있다.암술은1개이며 열매는 삭과(果)로익는다.
뿌리를 가을철 그늘에 말린 용담은 한방에서
식욕부진이나 소화불량에 사용하며, 건위제·이뇨제로 쓰기도 한다.
용(龍)의 쓸개처럼 맛이 쓰다고 하여 용담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배하기는 힘들지만 가을철을 아름답게 꾸미기 때문에 관상식물로 정원에
심기에 적당하며, 반그늘지고 조금 축축하면서도
배수가 잘되는 기름진 곳에서 잘 자란다.
▶ 부작용(주의사항) ◀
체력이 허약하거나 비. 위장이 약해 잦은 설사를 할 때,
특히 습. 열이 없는 상태에서 용담을 쓰면 두통을 일르키기 쉬우며
위장이 손상될 수도 있으니 쓰지 않는 것이 좋다.
그래서 열을 떨어뜨리는 작용을 한다고는 해도
허약한 체력 때문에 열이 난 경우에는 쓰지 않는다.
또 식전에는 가급적 먹지 않도록 한다.
식전에 많이 먹으면 소변을 지릴 수 있다.
◈ 이미지,사진 ◈ <일부사진은 펌 하였습니다.>
▶효능은 개인의 체질에 맞는지 꼭 한의사와 상담 후 사용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