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병” 민간요법 바름.고구마 줄기를 잘라 달인 후 국물을 얼굴에 바름.살구씨 가루를 꿀에 개어 얼굴에 바름. 피부병 무화과 열매의 생즙을 내어 하루에 한 차례씩 환부에 발라 주거나 열매를 따서 말려 두었다가 한 차례에 10개씩 하루에 3번 먹어도 좋으며, 통증이 심할 때는 연근(연뿌리)의 생즙을 내어 하루에 3차례씩, 한 번에 찻숟가락으로 하나씩만 공복에 계속 복용하면 통증이 없어진다.
눈다래끼 * 대변을 본 후 하혈(下血)이 그치지 않으면 검정콩과 연근(연뿌리)을 같은 양을 넣고 삶아 그 물을 마시면 낫는다.
* 항문에 종기가 났을 때는 마치현(쇠비름)과 꽈리를 같은 양으로 달여 그 물에 환부를 씻는다.
* 수치질에 무화과 열매의 진을 바르면 매우 가려운데 참고 계속하면 효험을 본다.
* 암치질에 무화과 열매를 불에 구워 따끈따끈할 때 항문 속에 넣는데, 몇 번만 해도 좋은 효과가 있다.
* 오줌소태에는 옥발(옥수수 수염)을 달여 마시거나 질경이 뿌리를 달여 마신다.
* 치질에는 곶감 10개를 꿀을 타서 2시간 가량 찜통에 찐 뒤 매일 아침 저녁 식전에 1개씩 먹으면 좋다.
* 산증(疝症:불알이 붓는 것)에는 현호색을 10분 정도 찐 후 물을 붓고 달여서 하루 2번씩 장복하면 특 히 효과가 있다.
* 신장의 부종이 심할 때는 살아 있는 우렁이 살을 밀가루에 반죽해서 배꼽 아래 3㎝되는 곳에 붙이면 신기할 정도로 큰 효과가 있는데, 이 방법은 맹장염과 복수(腹水)에도 효과가 있다.
* 야뇨증이 있는 경우에는 시체(감꼭지)를 달여 1일 4∼5회 마시거나, 우렁이를 찧어 배꼽에 붙이면 효 과가 있다.
* 소변이 잘 안 나올 때는 파 줄기를 소금물에 담갔다가 요도에 넣으면 곧바로 소변이 나온다. 또 질경 이잎 두 줌과 총백(파밑 흰부분) 10개를 달여 마시면 소변이 통한다.
* 오줌소태에는 은행·익모초·우슬(쇠무릎)을 진하게 달여 반잔씩 하루 3번 공복에 복용하면 특히 효과 가 있다.
* 치질에는 콩밭이나 고구마밭 같은 데 기어 다니는 집없는 달팽이를 잡아 깨끗이 씻어 물기를 빼고, 오래된 기왓장 위에 얹어 놓고 밑에 불을 때서 까맣게 태워 가루를 낸 것을 참기름이나 돼지기름으 로 개어 치질 부위에 바른다. 효과가 매우 신통하여 두 달쯤 바르면 틀림없이 낫는다
*간질병에는 도인(복숭아씨)을 달여 마시게 하고, 동쪽으로 뻗은 가지 껍질을 달여 마시게 한다.또 자초 (지치뿌리) 10년 이상된 것을 참기름에 졸여서 먹여도 효과가 있다.
*광견병에는 그 개의 털을 태워서 먹으면 좋다.벌이나 독충에 쏘였을 때는 벌 꿀을 바르거나 된장을 바 르면 낫는다.
*눈병 치료에는 엄지손가락의 손톱 밑에 바늘로 찔러 피가 나오면 낫는다.
*백내장에는 잉어를 푹 고아 고기는 먹고 물을 환부에 자주 발라 주거나,토란을 즙내어 밀가루와 섞은 후 생강을 약간 넣고 반죽을 하여 귓속에 넣어 주면 효과가 좋다.
*다래끼가 났을 때는 도인(복숭아씨)을 으깨어 즙을 내서 환부에 바르거나, 고름을 짜낸 후 참기름을 발라 주면 효과가 있다.목에 병이 생겼을 때는 소금을 태워서 조금씩 목 안에 넣으면 낫는다.
*중이염에는 참기름이나 피마자 기름을 솜에 묻혀 귓속에 넣는데, 아침·저녁 갈아주면 효과가 좋다. 또 꿀을 발라 하루에 2∼3번 귓속에 넣거나 오적골(오징어뼈) 가루에 약간의 사향을 넣어 귓속에 넣으면 큰 효과가 있다.
*코피가 날 때에는 부추 또는 국화잎이나 쑥을 잘 비벼서 콧구멍을 막아 주거나, 치자를 검게 태워 콧 구멍에 넣고 솜으로 막아 주어도 쉽게 멎는다.
*축농증에는 마늘을 찧어 발바닥 중앙에 붙여 주면 효과가 있다. 또 생 연근(연뿌리)을 즙내어 취침 전 에 콧구멍에 넣어 주면 효과가 크다.코피가 날 때는 생지황·백반·연근을 즙을 내어 탈지면에 묻혀 막 아 주거나, 호도를 찧어 솜에 싸서 막아 주면 효과가 크다.
*딸기코는 고본 달인 물로 자주 씻어준다.축농증에는 독사의 골을 빼서 축농증이 생긴 코안에 바르면 낫는다.대개 3번만 바르면 깨끗이 낫는다.축농증에 생 연근(연뿌리)을 즙을 내어 취침 전에 콧속에 넣 어주면 효과가 있다.축농증에 늙은 호박속에 지렁이를 넣고 삶으면 끈끈한 기름이 고이는데 이 기름을 12시간 간격으로 콧속에 1∼2방울 넣어주면 효과를 본다.
*입냄새로 자신뿐만 아니라 남에게 피해를 줄 때에는 석류열매를 이용하면 되는데 우선 석류 1∼2개를 깨부순 다음에 약한 불에 달인 다음 이 즙을 식혀 하루에 볓 번씩 입안을 헹구면 입냄새가 제거된다. 무좀·습진 등에는 질 좋은 먹을 진하게 갈아 하루에 몇 번씩 발라 준다. 무좀은 대개 열흘, 습진은 간 단히 낫는다.화농성 상처나 새 살이 돋지 않는 데에 오배자(붉나무벌레집)를 가루로 만들어 참기름이 나 지네기름에 갠 뒤 환부에 붙이면 잘 낫는다.
*두드러기가 났을 때는 낙지를 달여서 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또는 선퇴(매미 허물) 가루낸 것을 돼지기름에 개어서 환부에 발라도 좋고, 미나리즙·탱자즙·피마자기름을 환부에 자주 바르면 좋다.두드 러기에는 탱자를 달여 마시거나 온 몸에 바른다. 탱자 열매를 짓찧어 생즙을 몸에 바르면 더욱 좋다.
*옴이 올랐을 때는 날 참깨 또는 생쌀을 씹어서 환부에 바르거나, 유황을 물에 개어 환부에 바르면 효 과가 있다.무좀에는 담배 니코틴 우려낸 물을 바르고 담그거나, 먹을 진하게 갈아 자주 바르면 치료된 다.머리에 난 부스럼에는 백강잠(누에)을 불에 태워 참기름에 개어 바른다.
*화상에는 구판(남생이 등껍데기)을 태워 재로 만들어 참기름에 개어 바르거나, 날 김을 물에 적시어 환부에 두껍게 바르고 그 위에 헝겊을 감는데, 매일 새로 갈아주면 빨리 아물며 흉터도 생기지 않는 다. 동상에 걸렸을 때는 콩자루를 방 아랫목에 두고 그 속에 발을 넣는다. 또 양말 속에 고춧가루 조 금을 넣어 신고 다녀도 좋다.
*연주창에는 노봉방(벌집)을 볶아 가루를 만들어 돼지기름에 개어 바른다. 또 미나리 뿌리를 꿀에 재어 그늘에 두었다가 식으면 환부에 바르거나 먹으면 치유된다. 티눈에는 껍질 벗긴 마늘을 다져서 매일 2∼3회 바르면 곧 효력이 있다.
*손발이 건조하여 갈라질 때는 은행을 가루로 만들어 참기름이나 돼지기름을 섞어 아침 저녁으로 바르 거나, 껍질을 벗긴 도인(복숭아씨)가루 또는 행인(살구씨)가루에 참기름이나 돼지기름을 섞어 수시로 손발에 바르면 좋다. 이 약은 각종 창독(瘡毒:부스럼 독)과 부스럼, 여드름에도 좋은 효력이 있다. 화 상에는 콩을 입으로 씹어서 매일 2회씩 환부에 붙이면 좋다. 마자인(삼씨) 기름을 매일 1회씩 모발과 두피에 바르면 탈모 및 모발의 변색을 예방할 수 있으며 두 창(頭瘡: 머리 부스럼)도 치료할 수 있다.
*손·발을 베었을 경우에는 , 오공(지네)을 병 속에 넣고 참기름이나 들기름을 넣은 다음 밀봉하여 두면 액이 나오는데, 그 액을 하루 3번 2∼3일 정도 환부에 발라 주면 곪지 않고 흉터도 없이 깨끗하게 낫 는 효과가 있다.
*겉으로 튀어나온 갖가지 피부암·육종암은 나무에 생긴 암으로 치료한다.즉 나무가 정상적으로 자라지 못하고 혹처럼 되어 있는 것을 잘라내어 쓴다. 나무에 생긴 혹은 나무의 암으로 나무가 암과 함께 생긴 면역물질이 그속에 많이 들어 있을 것이니 사람이 암에도 효과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피부암에는 가래열매의 진을 바른다. 가래열매가 익기 전에 가래껍질에 상처를 내면 끈끈한 진액이 나온다. 그 진액을 자주 발라 준다. 또한 모과열매의 진 액도 피부암에 효과가 있다.
*입 안이 헐었을 때는 꿀을 발라 주면 금방 낫는다.
*버짐에는 대황(장군풀)을 갈아 식초를 섞어 환부에 바르면 심한 진물의 수종(水腫)도 쉽게 치유되며, 질이 좋은 먹물을 발라 줘도 신기한 효과가 있다.
*종기(腫氣)에는 백계근(접시꽃뿌리)을 달여 마시면 고름이 나오고 빨리 낫는다. 또 종기가 크고 고통이 심해 손을 댈 수 없을 정도면, 종기 위에 거머리를 놓아 빨아내면 좋다. 이 방법은 유종(乳腫)·면종 (面腫)·두창(頭瘡)에도 효과가 있다.
* 변비
* 복통
* 부종
* 비만증
*빈혈
* 설사
* 소화불량
* 신경통
* 신장염
* 십이지장궤양
* 위궤양
* 위염
* 저혈압
* 천식
편도선염 기관지염
닭1마리에 뽕나무 뿌리 속껍질50g을 넣고 고아 먹음. 할미꽃 뿌리 50g을 물에 달여 먹음.(1일2회) 돼지 허파 속에 은행 알을 넣고 삶아 먹음. 솔잎을 찧어 생즙을 마심. 뱀장어를 끓여 우러나온 기름을 마심. 은행을 구워 먹음. 뱀 술을 담가 먹음.
* 화상 감자를 껍질채 갈아 환부에 붙임. 흑을 토하게 한 지렁이와 설탕 각각20g씩을 참기름에 넣고 지렁이가 녹을 때까지 끓인 후 그 액을 가아제에 묻혀 환부에 붙임. 계란 노른자 기름이나 흰자를 환부에 붙임. 오이의 생즙을 내어 환부에 붙임. 된장을 환부에 바름. 누에 고치를 데워 참기름에 개어 환부에 바름. 소나무 껍질을 태우고 가루 내어 참기름에 반죽하여 환부에 바름. 양잿물에 환부를 담근다. 콩을 입으로 씹어서 매일 2회씩 환부에 붙이면 좋다. 생 파의 뿌리를 찧어 환부에 붙임. 생 감자를 곱게 갈아 환부에 붙임. 치자를 물에 타서 노란 물이 날 때 밀가루를 넣고 반죽하여 환부에 붙임. 굵은 소금을 볶아 자루에 넣고 환부를 찜질.
* 견비통 (어깨가 결리는 통증)에는 천초(산초)를 가루로 만들어 밀가루와 갠 다음 환부에 붙이는데, 하루 2번 갈아 붙이면 특히 효과가 좋다.
* 담석 해바라기 씨를 장기간 복용. 질경이를 말려 가루 내어 먹음. 참싸리 나무를 삶아 국물을 먹음. 마늘을 빻아 환부에 붙임. 해삼의 배를 갈라 환부에 붙임. 전북 껍질을 고열에 담구었다가 곱게 빻아 참기름에 개어 환부에 붙임. 콩을 환부에 붙임. 가지대를 뿌리채 햇볕에 말린 후 삶아서 그 물에 환부를 담금 담배나 담배잎을 삶은 물에 환부를 담금. 마늘 대를 삶아 환부를 담금. 콩자루를 방 아랫목에 두고 그 속에 발을 넣는다. 또 양말 속에 고춧가루 조금을 넣어 신고 다녀도 좋다. 꼴뚜기나 오징어 뼈를 갈아 환부에 바름. 담배가루를 환부에 바름. 들기름을 환부에 바름. 오공(지네)을 병 속에 넣고 참기름이나 들기름을 넣은 다음 밀봉하여 두면 액이 나오는데, 그 액을 하루 3번 2∼3일 정도 환부에 발라 주면 곪지 않고 흉터도 없이 깨끗하게 낫는 효과가 있다.
* 생손앓이 간장을 끓여, 따뜻할 때 환부를 담금. 계란 노른자에 환부를 담금. 백년초를 찧어 환부에 븥임. 미꾸라지를 짓찧어 설탕을 넣고 갠 후 하루 2번 4∼5일 정도 계속하면 완치가 된다.
* 외상(상처) 약쑥을 찧어 상처에 붙임. 송진을 상처에 바름 참기름을 상처에 바름. 숯가루을 상처에 바름 질겅이를 찧어 환부에 붙임.
* 종기 감자를 갈아 환부에 붙임. 느릅나무 가지나 뿌리를 찧어 환부에 붙임. 밀가루를 감자 즙에 반죽하여 환부에 붙임. 세탁비누를 가루내어 밀가루와 반죽하여 환부에 붙임. 송진을 환부에 바름. 면종(面腫: 얼굴에 종기나는 것)에는 미꾸라지를 씻어 뼈를 발라내고 껍질 쪽을 환부에 닿게 붙인다. 그러면 화농(化膿: 고름이 되는 것) 통증에 효과가 있다.
* 축농증 생 연근(연뿌리)을 즙을 내어 취침 전에 콧속에 넣어주면 효과가 있다. 축농증에 늙은 호박속에 지렁이를 넣고 삶으면 끈끈한 기름이 고이는데 이 기름을 12시간 간격으로 콧속에 1∼2방울 넣어주면 효과를 본다.
* 타박상 감자를 갈아 붙임. 밀가루,치자,달걀,식초를 반죽하여 환부에 붙임. 진달래 뿌리를 달여 먹음. 오이즙2큰술, 밀가루2큰술,식초1큰술을 반죽하여 환부에 부친다. 대황 가루에 동변(童便·7세이하 남아의 소변)을 넣고 반죽하여 환부에 붙이는데, 2일에 한번씩 갈아 주면 효과가 크다. 또 생강즙에 청주를 섞고 반죽하여 환부에 하루 2번식 붙이면 효과가 좋다. 참기름을 환부에 바르고 그 위를 손바닥으로 3백번 정도 가볍게 마사지를 해주면, 심한 고통이 있었던 다리도 다음날에는 옮겨 놓을 수 있을 정도로 낫는다.
* 요통 가을이나 겨울철에 엄나무 줄기나 뿌리의 생즙을 내어 마시면 낫는다
* 견비통(어깨가 결리는 증상) 천초(산초)를 가루로 만들어 밀가루와 갠 다음 환부에 붙이는데, 하루 2번 갈아 붙이면 특히 효과가 좋다.
* 백일해 백일홍 나무를 달여 먹임. 참새를 끓여 국물 먹임. 콩나물과 엿을 따뜻한 곳에 뒀다 먹임. 수세미를 삻아 먹임. 호박을 삶아 먹임.
* 소아감기 파를 삶아 먹임. 구기자,살구씨,생강을 넣고 달여 먹임. 무를 갈아 먹임. 호두 기름을 짜내어 먹임. 수세미 열매를 달여 먹임.
* 소아경풍(경련) 무 삶은 물을 먹임. 식초와 소금을 섞어 새끼 손가락에 문지름. 파를 모유에 넣고 끓여 먹임. 지렁이와 파를 삶아 먹임.
* 소아기침 배를 삶아 즙을 먹임. 콩나물과 엿을 따뜻한 곳에 주고 먹임. 석류를 갈아서 먹임. 파뿌리와 들기름을 삶아 먹임.
* 소아변비 연씨를 먹임. 완두콩을 삶아 죽을 쒀 먹임. 약쑥 익모초 생즙을 먹임. 쑥 뿌리와 머루뿌리의 생즙을 내어 술에 타 먹임.
* 소아설사 피마자 기름을 조금 먹임. 볏짚을 삶아 국물을 먹임. 삶은 달걀의 노른자를 먹임. 토마토를 갈아 먹임.
* 야뇨증 감 꼭지를 진하게 달여 먹임. 돌 미나리 뿌리의 생즙을 먹임. 팥 잎의 생즙을 내어 먹임. 은행을 볶아서 먹임.
* 영아 구내염 지렁이를 볶아 물을 짜내어 환부에 바름 구기자 뿌리를 달여 먹임. 지렁이와 꿀을 넣고 삶은 물을 먹임.
* 토사곽란 감초,백출,인삼을 10g씩 넣고 끓인 후 국물을 복용. 옥수수 뿌리를 달여 마심. 질경이 뿌리의 생즙을 마심.
* 어린아이귀에서 고름이 날 때는 도인(복숭아 씨)을 노랗게 볶아 가루를 솜에 싸서 귓속에 넣거나, 참 기름에 개어서 넣으면 낫는다.
* 소아마비 증세에는 오가피를 달여 조금씩 장복시키면 효과가 크다.
* 젖에 잘 체하는 아이에게는 달팽이를 삶아 국물을 먹이면 체하지 않는다.
* 어린아이의 머리에 털이 나지 않을 때는 식초에 검은콩을 삶아 그 물을 발라 주면 머리털이 난다.
* 어린아이 편도선염에는 우엉뿌리의 즙을 조금씩 먹이면 아주 좋다.
* 어린아이의 경풍(驚風:경기)을 고치는 데는 쑥으로 아이의 머리 정수리에 뜸을 놓는다.
* 어린애가 쇠로 된 물건이나 동전을 삼켰을 때는 껍질 벗긴 토란을 쪄서 먹이거나 토란을 물에 삶아서 토란과 함께 그 물을 마시면 효력이 있다. * 냉증
약쑥을 달여 마심.익모초,구절초,약쑥을 넣고 끓여 국물 복용.접시꽃 뿌리를 달여 먹음.냉초를 소량씩 달여서 먹음.멸치의 내장을 볶아 먹음.
* 대하증 접시꽃 뿌리를 달여 먹음.굴껍질을 불에 달군 후 곱게 빻고, 가죽나무 뿌리껍질을 가루 내어 꿀과 혼합, 환약을 만들어 10개씩 복용.(1일3회)익모초를 달여 먹음.
* 산후복통 게를 20분간 찐 후 소주를 뿌리고 다시 5분간 쪄 양념을 찍어 먹음.잉어를 고아 먹음.은행을 달여 먹음.감 꼭지를 달여 먹음.머루 나무를 달여 먹음. * 산후부종 가물치를 달여 먹음.늙은 호박을 삶아 먹음.늙은 호박의 속을 파내고 밤,대추,잔대,꿀등을 넣고 달여 먹음.
* 산후요통 꿩고기 탕을 먹음호박과 토끼를 넣고 중탕을 하여 먹음.진달래 뿌리를 달여 먹음.
* 월경이상 익모초,쉽싸리,꼭두선이 뿌리를 각각20g씩 넣고 끓인 후 국물을 공복에 복용.쑥을 생즙 내어 먹음.닭1마리 황기 15g 당귀20g,파,생강,청주등을 넣고 끓여 먹음.접시꽃을 달여 먹음.익모초, 밤,대추를 넣고 달여 먹음.
* 월경통 복숭아 씨의 알맹이를 30개 정도 넣고 푹 끓여 식전에 국물 복용.닭과 접시꽃 나무를 넣고 삶아 먹음.천궁과 당귀를 10g씩,생강을 2g넣고 끓여 복용.가물치 1마리 뽕나무 뿌리50g과 양념을 넣고 끓여 먹음.잔대 삶은 물에 북어를 넣고 삶아 먹음.
* 자궁염 선인장을 찧어 생즙을 마심.말린 오이 풀을 달여 먹음칡덩굴 껍질을 달여 마심.옥수수 수염을 달여 마심.
* 산후 산모가 기침으로 고생할 때는 2∼3세의 어린아이의 오줌을 받아 마시면 완전히 낫는다.
* 난산일 때 임산부의 발에 「하늘 天字」를 쓰면 곧 순산한다.
* 산후병에는 태아를 씻어 낸 물을 마시면 낫는다.
* 입덧에는 복룡간(부뚜막밑 흙)을 물에 타서 가라앉힌 다음 윗물을 떠서 먹으면 효과가 있다. * 낙태를 하고 난 뒤에는 김(미역 말고)을 자주 먹거나 길경(백도라지)를 달여서 한 컵씩 하루 2차례에 걸쳐 꾸준히 먹는다.
* 산후에 중풍이 오면 마늘 30∼40쪽에 물 3공기를 붓고 물이 1공기가 될 때까지 달여서 3∼4차례에 나누어 하루에 다 먹는데, 5∼7일 정도 마셔야 완전히 낫는다.
* 부인 유종(乳腫: 젖이 부은 것)에는 서리맞은 호박잎을 가루 내어 물에 개어 바른다. 또 미꾸라지를 짓찧어 바르는 것도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 유종(乳腫)이 생겼을 경우에는 포공영(민들레)을 찧어 환부에 붙이면 좋다.
* 부인이 음종(陰腫: 음부가 부은 것)이 있을 때는 지골피(구기자 뿌리껍 질)를 달인 물로 수시로 씻어 주면 효과가 있다.
* 냉증(冷症)에는 달걀과 애엽(약쑥)을 함께 삶아 먹거나, 의이인(율무)을 탕 속에 담가 두었다가 목욕하면 효과가 있다.
* 유산을 했을 때는 잉어 1마리, 현미 1되, 된장을 넣고 죽을 쑤어서 자주 먹으면 효과가 매우 좋다.
* 산모의 젖이 부족할 때는 잉어 대가리 1개를 태워 가루로 만들어 술에 타서 마시거나, 전복을 삶아 즙과 함께 많이 먹으면 효과가 있다.
* 산후에 몸이 부을 때는 늙은 호박을 통째로 삶아 즙 한 공기에 꿀 반 숟가락을 넣어 하루 3번 2∼3일 정도 복용하거나, 감자 껍질을 술로 달여 마시면 효과가 있다.
* 분만할 때 난산인 경우에는 꿀 반사발·참기름 반사발을 섞어 절반이 될 때까지 졸인 다음 약간 차게 식혀서 한 번에 다 마시면 효과가 있다.
* 산후에 가슴과 배가 아픈 데는 달걀 3개를 술 3홉으로 삶아 먹으면 곧 낫는다
* 황련해독탕 체력이 중간 정도이고, 머리로 피가 몰리거나 상기되어 얼굴이 홍조를 띠는 경 향이 있을 때, 마음이 초조하고, 변비는 없으며, 맥력, 복력이 조금 약한 경우 의 비출혈에 효과적이다. * 삼화사삼탕 얼굴이 화끈거리고, 마음이 초조한 사람으로서 변비가 있고, 맥력, 복력이 강 한 경우의 비출혈에 효과적이다. * 마황탕 체력이 없으며, 두통, 발열, 한기가 있고, 땀이 전혀 나오지 않으며, 마디마디 관절이 아픈 경우의 비출혈에 효과적이다. 체력이 다부진 사람으로서, 좀처럼 잠을 자지 못하고 꿈(특히 악몽)을 꾸는 등 신경이 날카로우며, 사소한 일에 늘 걱정이 많고 변비 증상에 어깨가 결리는 사 람의 비출혈에 좋다. * 도인승기탕 체력이 아주 좋은 사람으로서 안색이 검불거나 거무스름하고, 배꼽 아래 부근 에 압통이 계지복령환을 사용할 경우보다 더욱 심하고, 어깨결림, 변비, 불면 증, 정신 불안, 여성의 경우는 월경 이상이 있는 경우의 비출혈에 좋다. * 소건중탕 코피가 자주 나는 아이로서, 안색이 창백하고, 원기가 없으며, 배가 자주 아픈 경우에 장기간 복용시키면 아주 건강해진다. * 귀비탕 비출혈이 반복되기 때문에 빈혈에 걸려 원기가 없고, 자주 피곤하며, 맥력, 복 력이 약하고, 위장 상태가 나쁜 경우에 복용한다. 비출혈이 반복되기 때문에 빈혈에 걸린 사람으로서, 비교적 체력이 좋지 않고 손발이 찬 경우에 복용한다. 민간요법 … 무즙, 질경이 생잎을 찧어 즙을 낸 것, 연근을 생채로 갈아서 즙을 낸 다음 탈 지면에 묻혀 콧 속에 넣으면 효과가 있다. 일상생활의 주의 … 아이들의 코피는 좌우 비강을 나누고 있는 비중격 부분의 가는 혈관이 끊어져 생기는 경우가 비교적 많다. 이러한 때에는 드러누워 코를 누르고 있으면 금방 출혈이 멈추는 경우가 대부분 이어서 큰 일은 없다. 그러나 자꾸 반복되면 그 부분의 혈관이 끊어지기 쉬우므 로 코를 후비는 버릇이 있는 아이에게는 주의를 주어 못하게 해야 한다. 또한 주위에 있는 사람이 침착하게 적절한 조치를 취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민간요법 … * 율무 : 씨앗을 달여 식전에 마신다. * 가지 : 가지 꼭지를 문지르면 각질이 떨어진다. * 쌀겨 : 쌀겨 기름(아가리가 큰 질그릇이나 꽃꽂이 하는 그릇을 헝겊 두 세장 으로 덮은 뒤 고무줄로 고정시킨다. 그 위에 쌀겨를 수북하게 쌓고 숯불 위에 올려 놓는다. 가제가 타서 찢어지지 않을 정도로 불을 살려 가면서 천천히 쌀겨 를 굽는다. 쌀겨가 구워지면서 기름이 그릇에 쌓인다)에 참기름을 절반쯤 섞어 환부에 바른다. 일상생활의 주의 … 물일을 할 때는 고무장갑을 껴서 되도록 물에 직접 손을 넣지 않도록 하자. 비 누와 세제를 사용한 후에는 잘 씻고 크림을 발라 피지막을 보호해야 한다.
* 가래 은행을 빻아 즙을 내어 먹음 호두기름을 짜내어 먹음 도라지를 날 먹거나 구워서 먹음 배와 꿀을 섞어 따뜻한 곳에 놓은 후 거기서 생기는 물을 먹음 각종 “병” 민간요법 바름.고구마 줄기를 잘라 달인 후 국물을 얼굴에 바름.살구씨 가루를 꿀에 개어 얼굴에 바름. 피부병 무화과 열매의 생즙을 내어 하루에 한 차례씩 환부에 발라 주거나 열매를 따서 말려 두었다가 한 차례에 10개씩 하루에 3번 먹어도 좋으며, 통증이 심할 때는 연근(연뿌리)의 생즙을 내어 하루에 3차례씩, 한 번에 찻숟가락으로 하나씩만 공복에 계속 복용하면 통증이 없어진다.
눈다래끼 * 대변을 본 후 하혈(下血)이 그치지 않으면 검정콩과 연근(연뿌리)을 같은 양을 넣고 삶아 그 물을 마시면 낫는다.
* 항문에 종기가 났을 때는 마치현(쇠비름)과 꽈리를 같은 양으로 달여 그 물에 환부를 씻는다.
* 수치질에 무화과 열매의 진을 바르면 매우 가려운데 참고 계속하면 효험을 본다.
* 암치질에 무화과 열매를 불에 구워 따끈따끈할 때 항문 속에 넣는데, 몇 번만 해도 좋은 효과가 있다.
* 오줌소태에는 옥발(옥수수 수염)을 달여 마시거나 질경이 뿌리를 달여 마신다.
* 치질에는 곶감 10개를 꿀을 타서 2시간 가량 찜통에 찐 뒤 매일 아침 저녁 식전에 1개씩 먹으면 좋다.
* 산증(疝症:불알이 붓는 것)에는 현호색을 10분 정도 찐 후 물을 붓고 달여서 하루 2번씩 장복하면 특 히 효과가 있다.
* 신장의 부종이 심할 때는 살아 있는 우렁이 살을 밀가루에 반죽해서 배꼽 아래 3㎝되는 곳에 붙이면 신기할 정도로 큰 효과가 있는데, 이 방법은 맹장염과 복수(腹水)에도 효과가 있다.
* 야뇨증이 있는 경우에는 시체(감꼭지)를 달여 1일 4∼5회 마시거나, 우렁이를 찧어 배꼽에 붙이면 효 과가 있다.
* 소변이 잘 안 나올 때는 파 줄기를 소금물에 담갔다가 요도에 넣으면 곧바로 소변이 나온다. 또 질경 이잎 두 줌과 총백(파밑 흰부분) 10개를 달여 마시면 소변이 통한다.
* 오줌소태에는 은행·익모초·우슬(쇠무릎)을 진하게 달여 반잔씩 하루 3번 공복에 복용하면 특히 효과 가 있다.
* 치질에는 콩밭이나 고구마밭 같은 데 기어 다니는 집없는 달팽이를 잡아 깨끗이 씻어 물기를 빼고, 오래된 기왓장 위에 얹어 놓고 밑에 불을 때서 까맣게 태워 가루를 낸 것을 참기름이나 돼지기름으 로 개어 치질 부위에 바른다. 효과가 매우 신통하여 두 달쯤 바르면 틀림없이 낫는다
*간질병에는 도인(복숭아씨)을 달여 마시게 하고, 동쪽으로 뻗은 가지 껍질을 달여 마시게 한다.또 자초 (지치뿌리) 10년 이상된 것을 참기름에 졸여서 먹여도 효과가 있다.
*광견병에는 그 개의 털을 태워서 먹으면 좋다.벌이나 독충에 쏘였을 때는 벌 꿀을 바르거나 된장을 바 르면 낫는다.
*눈병 치료에는 엄지손가락의 손톱 밑에 바늘로 찔러 피가 나오면 낫는다.
*백내장에는 잉어를 푹 고아 고기는 먹고 물을 환부에 자주 발라 주거나,토란을 즙내어 밀가루와 섞은 후 생강을 약간 넣고 반죽을 하여 귓속에 넣어 주면 효과가 좋다.
*다래끼가 났을 때는 도인(복숭아씨)을 으깨어 즙을 내서 환부에 바르거나, 고름을 짜낸 후 참기름을 발라 주면 효과가 있다.목에 병이 생겼을 때는 소금을 태워서 조금씩 목 안에 넣으면 낫는다.
*중이염에는 참기름이나 피마자 기름을 솜에 묻혀 귓속에 넣는데, 아침·저녁 갈아주면 효과가 좋다. 또 꿀을 발라 하루에 2∼3번 귓속에 넣거나 오적골(오징어뼈) 가루에 약간의 사향을 넣어 귓속에 넣으면 큰 효과가 있다.
*코피가 날 때에는 부추 또는 국화잎이나 쑥을 잘 비벼서 콧구멍을 막아 주거나, 치자를 검게 태워 콧 구멍에 넣고 솜으로 막아 주어도 쉽게 멎는다.
*축농증에는 마늘을 찧어 발바닥 중앙에 붙여 주면 효과가 있다. 또 생 연근(연뿌리)을 즙내어 취침 전 에 콧구멍에 넣어 주면 효과가 크다.코피가 날 때는 생지황·백반·연근을 즙을 내어 탈지면에 묻혀 막 아 주거나, 호도를 찧어 솜에 싸서 막아 주면 효과가 크다.
*딸기코는 고본 달인 물로 자주 씻어준다.축농증에는 독사의 골을 빼서 축농증이 생긴 코안에 바르면 낫는다.대개 3번만 바르면 깨끗이 낫는다.축농증에 생 연근(연뿌리)을 즙을 내어 취침 전에 콧속에 넣 어주면 효과가 있다.축농증에 늙은 호박속에 지렁이를 넣고 삶으면 끈끈한 기름이 고이는데 이 기름을 12시간 간격으로 콧속에 1∼2방울 넣어주면 효과를 본다.
*입냄새로 자신뿐만 아니라 남에게 피해를 줄 때에는 석류열매를 이용하면 되는데 우선 석류 1∼2개를 깨부순 다음에 약한 불에 달인 다음 이 즙을 식혀 하루에 볓 번씩 입안을 헹구면 입냄새가 제거된다. 무좀·습진 등에는 질 좋은 먹을 진하게 갈아 하루에 몇 번씩 발라 준다. 무좀은 대개 열흘, 습진은 간 단히 낫는다.화농성 상처나 새 살이 돋지 않는 데에 오배자(붉나무벌레집)를 가루로 만들어 참기름이 나 지네기름에 갠 뒤 환부에 붙이면 잘 낫는다.
*두드러기가 났을 때는 낙지를 달여서 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또는 선퇴(매미 허물) 가루낸 것을 돼지기름에 개어서 환부에 발라도 좋고, 미나리즙·탱자즙·피마자기름을 환부에 자주 바르면 좋다.두드 러기에는 탱자를 달여 마시거나 온 몸에 바른다. 탱자 열매를 짓찧어 생즙을 몸에 바르면 더욱 좋다.
*옴이 올랐을 때는 날 참깨 또는 생쌀을 씹어서 환부에 바르거나, 유황을 물에 개어 환부에 바르면 효 과가 있다.무좀에는 담배 니코틴 우려낸 물을 바르고 담그거나, 먹을 진하게 갈아 자주 바르면 치료된 다.머리에 난 부스럼에는 백강잠(누에)을 불에 태워 참기름에 개어 바른다.
*화상에는 구판(남생이 등껍데기)을 태워 재로 만들어 참기름에 개어 바르거나, 날 김을 물에 적시어 환부에 두껍게 바르고 그 위에 헝겊을 감는데, 매일 새로 갈아주면 빨리 아물며 흉터도 생기지 않는 다. 동상에 걸렸을 때는 콩자루를 방 아랫목에 두고 그 속에 발을 넣는다. 또 양말 속에 고춧가루 조 금을 넣어 신고 다녀도 좋다.
*연주창에는 노봉방(벌집)을 볶아 가루를 만들어 돼지기름에 개어 바른다. 또 미나리 뿌리를 꿀에 재어 그늘에 두었다가 식으면 환부에 바르거나 먹으면 치유된다. 티눈에는 껍질 벗긴 마늘을 다져서 매일 2∼3회 바르면 곧 효력이 있다.
*손발이 건조하여 갈라질 때는 은행을 가루로 만들어 참기름이나 돼지기름을 섞어 아침 저녁으로 바르 거나, 껍질을 벗긴 도인(복숭아씨)가루 또는 행인(살구씨)가루에 참기름이나 돼지기름을 섞어 수시로 손발에 바르면 좋다. 이 약은 각종 창독(瘡毒:부스럼 독)과 부스럼, 여드름에도 좋은 효력이 있다. 화 상에는 콩을 입으로 씹어서 매일 2회씩 환부에 붙이면 좋다. 마자인(삼씨) 기름을 매일 1회씩 모발과 두피에 바르면 탈모 및 모발의 변색을 예방할 수 있으며 두 창(頭瘡: 머리 부스럼)도 치료할 수 있다.
*손·발을 베었을 경우에는 , 오공(지네)을 병 속에 넣고 참기름이나 들기름을 넣은 다음 밀봉하여 두면 액이 나오는데, 그 액을 하루 3번 2∼3일 정도 환부에 발라 주면 곪지 않고 흉터도 없이 깨끗하게 낫 는 효과가 있다.
*겉으로 튀어나온 갖가지 피부암·육종암은 나무에 생긴 암으로 치료한다.즉 나무가 정상적으로 자라지 못하고 혹처럼 되어 있는 것을 잘라내어 쓴다. 나무에 생긴 혹은 나무의 암으로 나무가 암과 함께 생긴 면역물질이 그속에 많이 들어 있을 것이니 사람이 암에도 효과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피부암에는 가래열매의 진을 바른다. 가래열매가 익기 전에 가래껍질에 상처를 내면 끈끈한 진액이 나온다. 그 진액을 자주 발라 준다. 또한 모과열매의 진 액도 피부암에 효과가 있다.
*입 안이 헐었을 때는 꿀을 발라 주면 금방 낫는다.
*버짐에는 대황(장군풀)을 갈아 식초를 섞어 환부에 바르면 심한 진물의 수종(水腫)도 쉽게 치유되며, 질이 좋은 먹물을 발라 줘도 신기한 효과가 있다.
*종기(腫氣)에는 백계근(접시꽃뿌리)을 달여 마시면 고름이 나오고 빨리 낫는다. 또 종기가 크고 고통이 심해 손을 댈 수 없을 정도면, 종기 위에 거머리를 놓아 빨아내면 좋다. 이 방법은 유종(乳腫)·면종 (面腫)·두창(頭瘡)에도 효과가 있다.
* 변비
* 복통
* 부종
* 비만증
*빈혈
* 설사
* 소화불량
* 신경통
* 신장염
* 십이지장궤양
* 위궤양
* 위염
* 저혈압
* 천식
편도선염 기관지염
닭1마리에 뽕나무 뿌리 속껍질50g을 넣고 고아 먹음. 할미꽃 뿌리 50g을 물에 달여 먹음.(1일2회) 돼지 허파 속에 은행 알을 넣고 삶아 먹음. 솔잎을 찧어 생즙을 마심. 뱀장어를 끓여 우러나온 기름을 마심. 은행을 구워 먹음. 뱀 술을 담가 먹음.
* 화상 감자를 껍질채 갈아 환부에 붙임. 흑을 토하게 한 지렁이와 설탕 각각20g씩을 참기름에 넣고 지렁이가 녹을 때까지 끓인 후 그 액을 가아제에 묻혀 환부에 붙임. 계란 노른자 기름이나 흰자를 환부에 붙임. 오이의 생즙을 내어 환부에 붙임. 된장을 환부에 바름. 누에 고치를 데워 참기름에 개어 환부에 바름. 소나무 껍질을 태우고 가루 내어 참기름에 반죽하여 환부에 바름. 양잿물에 환부를 담근다. 콩을 입으로 씹어서 매일 2회씩 환부에 붙이면 좋다. 생 파의 뿌리를 찧어 환부에 붙임. 생 감자를 곱게 갈아 환부에 붙임. 치자를 물에 타서 노란 물이 날 때 밀가루를 넣고 반죽하여 환부에 붙임. 굵은 소금을 볶아 자루에 넣고 환부를 찜질.
* 견비통 (어깨가 결리는 통증)에는 천초(산초)를 가루로 만들어 밀가루와 갠 다음 환부에 붙이는데, 하루 2번 갈아 붙이면 특히 효과가 좋다.
* 담석 해바라기 씨를 장기간 복용. 질경이를 말려 가루 내어 먹음. 참싸리 나무를 삶아 국물을 먹음. 마늘을 빻아 환부에 붙임. 해삼의 배를 갈라 환부에 붙임. 전북 껍질을 고열에 담구었다가 곱게 빻아 참기름에 개어 환부에 붙임. 콩을 환부에 붙임. 가지대를 뿌리채 햇볕에 말린 후 삶아서 그 물에 환부를 담금 담배나 담배잎을 삶은 물에 환부를 담금. 마늘 대를 삶아 환부를 담금. 콩자루를 방 아랫목에 두고 그 속에 발을 넣는다. 또 양말 속에 고춧가루 조금을 넣어 신고 다녀도 좋다. 꼴뚜기나 오징어 뼈를 갈아 환부에 바름. 담배가루를 환부에 바름. 들기름을 환부에 바름. 오공(지네)을 병 속에 넣고 참기름이나 들기름을 넣은 다음 밀봉하여 두면 액이 나오는데, 그 액을 하루 3번 2∼3일 정도 환부에 발라 주면 곪지 않고 흉터도 없이 깨끗하게 낫는 효과가 있다.
* 생손앓이 간장을 끓여, 따뜻할 때 환부를 담금. 계란 노른자에 환부를 담금. 백년초를 찧어 환부에 븥임. 미꾸라지를 짓찧어 설탕을 넣고 갠 후 하루 2번 4∼5일 정도 계속하면 완치가 된다.
* 외상(상처) 약쑥을 찧어 상처에 붙임. 송진을 상처에 바름 참기름을 상처에 바름. 숯가루을 상처에 바름 질겅이를 찧어 환부에 붙임.
* 종기 감자를 갈아 환부에 붙임. 느릅나무 가지나 뿌리를 찧어 환부에 붙임. 밀가루를 감자 즙에 반죽하여 환부에 붙임. 세탁비누를 가루내어 밀가루와 반죽하여 환부에 붙임. 송진을 환부에 바름. 면종(面腫: 얼굴에 종기나는 것)에는 미꾸라지를 씻어 뼈를 발라내고 껍질 쪽을 환부에 닿게 붙인다. 그러면 화농(化膿: 고름이 되는 것) 통증에 효과가 있다.
* 축농증 생 연근(연뿌리)을 즙을 내어 취침 전에 콧속에 넣어주면 효과가 있다. 축농증에 늙은 호박속에 지렁이를 넣고 삶으면 끈끈한 기름이 고이는데 이 기름을 12시간 간격으로 콧속에 1∼2방울 넣어주면 효과를 본다.
* 타박상 감자를 갈아 붙임. 밀가루,치자,달걀,식초를 반죽하여 환부에 붙임. 진달래 뿌리를 달여 먹음. 오이즙2큰술, 밀가루2큰술,식초1큰술을 반죽하여 환부에 부친다. 대황 가루에 동변(童便·7세이하 남아의 소변)을 넣고 반죽하여 환부에 붙이는데, 2일에 한번씩 갈아 주면 효과가 크다. 또 생강즙에 청주를 섞고 반죽하여 환부에 하루 2번식 붙이면 효과가 좋다. 참기름을 환부에 바르고 그 위를 손바닥으로 3백번 정도 가볍게 마사지를 해주면, 심한 고통이 있었던 다리도 다음날에는 옮겨 놓을 수 있을 정도로 낫는다.
* 요통 가을이나 겨울철에 엄나무 줄기나 뿌리의 생즙을 내어 마시면 낫는다
* 견비통(어깨가 결리는 증상) 천초(산초)를 가루로 만들어 밀가루와 갠 다음 환부에 붙이는데, 하루 2번 갈아 붙이면 특히 효과가 좋다.
* 백일해 백일홍 나무를 달여 먹임. 참새를 끓여 국물 먹임. 콩나물과 엿을 따뜻한 곳에 뒀다 먹임. 수세미를 삻아 먹임. 호박을 삶아 먹임.
* 소아감기 파를 삶아 먹임. 구기자,살구씨,생강을 넣고 달여 먹임. 무를 갈아 먹임. 호두 기름을 짜내어 먹임. 수세미 열매를 달여 먹임.
* 소아경풍(경련) 무 삶은 물을 먹임. 식초와 소금을 섞어 새끼 손가락에 문지름. 파를 모유에 넣고 끓여 먹임. 지렁이와 파를 삶아 먹임.
* 소아기침 배를 삶아 즙을 먹임. 콩나물과 엿을 따뜻한 곳에 주고 먹임. 석류를 갈아서 먹임. 파뿌리와 들기름을 삶아 먹임.
* 소아변비 연씨를 먹임. 완두콩을 삶아 죽을 쒀 먹임. 약쑥 익모초 생즙을 먹임. 쑥 뿌리와 머루뿌리의 생즙을 내어 술에 타 먹임.
* 소아설사 피마자 기름을 조금 먹임. 볏짚을 삶아 국물을 먹임. 삶은 달걀의 노른자를 먹임. 토마토를 갈아 먹임.
* 야뇨증 감 꼭지를 진하게 달여 먹임. 돌 미나리 뿌리의 생즙을 먹임. 팥 잎의 생즙을 내어 먹임. 은행을 볶아서 먹임.
* 영아 구내염 지렁이를 볶아 물을 짜내어 환부에 바름 구기자 뿌리를 달여 먹임. 지렁이와 꿀을 넣고 삶은 물을 먹임.
* 토사곽란 감초,백출,인삼을 10g씩 넣고 끓인 후 국물을 복용. 옥수수 뿌리를 달여 마심. 질경이 뿌리의 생즙을 마심.
* 어린아이귀에서 고름이 날 때는 도인(복숭아 씨)을 노랗게 볶아 가루를 솜에 싸서 귓속에 넣거나, 참 기름에 개어서 넣으면 낫는다.
* 소아마비 증세에는 오가피를 달여 조금씩 장복시키면 효과가 크다.
* 젖에 잘 체하는 아이에게는 달팽이를 삶아 국물을 먹이면 체하지 않는다.
* 어린아이의 머리에 털이 나지 않을 때는 식초에 검은콩을 삶아 그 물을 발라 주면 머리털이 난다.
* 어린아이 편도선염에는 우엉뿌리의 즙을 조금씩 먹이면 아주 좋다.
* 어린아이의 경풍(驚風:경기)을 고치는 데는 쑥으로 아이의 머리 정수리에 뜸을 놓는다.
* 어린애가 쇠로 된 물건이나 동전을 삼켰을 때는 껍질 벗긴 토란을 쪄서 먹이거나 토란을 물에 삶아서 토란과 함께 그 물을 마시면 효력이 있다. * 냉증
약쑥을 달여 마심.익모초,구절초,약쑥을 넣고 끓여 국물 복용.접시꽃 뿌리를 달여 먹음.냉초를 소량씩 달여서 먹음.멸치의 내장을 볶아 먹음.
* 대하증 접시꽃 뿌리를 달여 먹음.굴껍질을 불에 달군 후 곱게 빻고, 가죽나무 뿌리껍질을 가루 내어 꿀과 혼합, 환약을 만들어 10개씩 복용.(1일3회)익모초를 달여 먹음.
* 산후복통 게를 20분간 찐 후 소주를 뿌리고 다시 5분간 쪄 양념을 찍어 먹음.잉어를 고아 먹음.은행을 달여 먹음.감 꼭지를 달여 먹음.머루 나무를 달여 먹음. * 산후부종 가물치를 달여 먹음.늙은 호박을 삶아 먹음.늙은 호박의 속을 파내고 밤,대추,잔대,꿀등을 넣고 달여 먹음.
* 산후요통 꿩고기 탕을 먹음호박과 토끼를 넣고 중탕을 하여 먹음.진달래 뿌리를 달여 먹음.
* 월경이상 익모초,쉽싸리,꼭두선이 뿌리를 각각20g씩 넣고 끓인 후 국물을 공복에 복용.쑥을 생즙 내어 먹음.닭1마리 황기 15g 당귀20g,파,생강,청주등을 넣고 끓여 먹음.접시꽃을 달여 먹음.익모초, 밤,대추를 넣고 달여 먹음.
* 월경통 복숭아 씨의 알맹이를 30개 정도 넣고 푹 끓여 식전에 국물 복용.닭과 접시꽃 나무를 넣고 삶아 먹음.천궁과 당귀를 10g씩,생강을 2g넣고 끓여 복용.가물치 1마리 뽕나무 뿌리50g과 양념을 넣고 끓여 먹음.잔대 삶은 물에 북어를 넣고 삶아 먹음.
* 자궁염 선인장을 찧어 생즙을 마심.말린 오이 풀을 달여 먹음칡덩굴 껍질을 달여 마심.옥수수 수염을 달여 마심.
* 산후 산모가 기침으로 고생할 때는 2∼3세의 어린아이의 오줌을 받아 마시면 완전히 낫는다.
* 난산일 때 임산부의 발에 「하늘 天字」를 쓰면 곧 순산한다.
* 산후병에는 태아를 씻어 낸 물을 마시면 낫는다.
* 입덧에는 복룡간(부뚜막밑 흙)을 물에 타서 가라앉힌 다음 윗물을 떠서 먹으면 효과가 있다. * 낙태를 하고 난 뒤에는 김(미역 말고)을 자주 먹거나 길경(백도라지)를 달여서 한 컵씩 하루 2차례에 걸쳐 꾸준히 먹는다.
* 산후에 중풍이 오면 마늘 30∼40쪽에 물 3공기를 붓고 물이 1공기가 될 때까지 달여서 3∼4차례에 나누어 하루에 다 먹는데, 5∼7일 정도 마셔야 완전히 낫는다.
* 부인 유종(乳腫: 젖이 부은 것)에는 서리맞은 호박잎을 가루 내어 물에 개어 바른다. 또 미꾸라지를 짓찧어 바르는 것도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 유종(乳腫)이 생겼을 경우에는 포공영(민들레)을 찧어 환부에 붙이면 좋다.
* 부인이 음종(陰腫: 음부가 부은 것)이 있을 때는 지골피(구기자 뿌리껍 질)를 달인 물로 수시로 씻어 주면 효과가 있다.
* 냉증(冷症)에는 달걀과 애엽(약쑥)을 함께 삶아 먹거나, 의이인(율무)을 탕 속에 담가 두었다가 목욕하면 효과가 있다.
* 유산을 했을 때는 잉어 1마리, 현미 1되, 된장을 넣고 죽을 쑤어서 자주 먹으면 효과가 매우 좋다.
* 산모의 젖이 부족할 때는 잉어 대가리 1개를 태워 가루로 만들어 술에 타서 마시거나, 전복을 삶아 즙과 함께 많이 먹으면 효과가 있다.
* 산후에 몸이 부을 때는 늙은 호박을 통째로 삶아 즙 한 공기에 꿀 반 숟가락을 넣어 하루 3번 2∼3일 정도 복용하거나, 감자 껍질을 술로 달여 마시면 효과가 있다.
* 분만할 때 난산인 경우에는 꿀 반사발·참기름 반사발을 섞어 절반이 될 때까지 졸인 다음 약간 차게 식혀서 한 번에 다 마시면 효과가 있다.
* 산후에 가슴과 배가 아픈 데는 달걀 3개를 술 3홉으로 삶아 먹으면 곧 낫는다 |
'♣ 山野草 이야기 > 편리한 민간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면증 민간 요법 (0) | 2020.10.19 |
---|---|
손발이 찬사람이 조심해야 할 5가지 (0) | 2020.10.15 |
알아 두면 유익한 민간 요법 (0) | 2020.10.08 |
민간요법 모음 (0) | 2020.09.29 |
생활 속의 동의보감 (0) | 2020.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