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극 보양뜸 8자리
[백회]
양쪽 귓구멍에서 머리 위로 이어 올린 가상선을 긋고, 코 위로 인체의 중앙선을 그어 두 선이 십자로 교차하는 점이 백회이다. (치매예방, 중풍, 두통, 건망증, 코막힘, 뇌일혈, 뇌빈혈, 어지럼증, 이명, 탈항)
[폐유, 고황]
고개를 약간 숙이고 등 뒤 목 밑을 보면 툭 튀어나온 뼈가 있는데 이것이 제 7경추이다.
아래로 계속해 흉추가 이어지는데 손가락으로 눌러 더듬어 제 3흉추와 제 4흉추 사이에 쏙 들어간 곳을 찾아 신주로 정한다.
폐유는 이 신주 양 옆에 있는데 신주와 견갑골(날개뼈)모서리와 의 중간에 취한다.
고황은 제 4흉추와 제 5흉추사이 쏙 들어간 곳에서 양옆으로 견갑골 모서리에서 취한다.
(폐유 - 폐결핵, 폐렴, 폐출혈, 소화불량, 기관지염, 천식, 해수, 피부질환)
(고황 - 폐질환, 신경쇠약, 몽정, 유정, 도한, 소화불량, 식욕부진, 깊어진 병)
[곡지]
팔굽 안쪽에는 가로무늬 줄이 있다. 이것을 주횡문이라 한다. 손등이 위로 향하도록 곧게 편 다음 팔위의 근육 중간으로 세로선을 긋고, 주횡문과 십자로 교차되는 점을 정한다.
✲ 위 그림은 주횡문과 그 연장선상에서 근육의 최상단면 위에 곡지혈을 잡은 것이다.
(성인병예방, 반신불수, 두통, 피부병, 상박신경통, 강장작용)
[중완]
배에서 가슴으로 더듬어 올라가면 양쪽 갈비뼈가 만나 쏙 들어간 곳을 찾을 수 있다.
이곳과 배꼽의 중완과의 중간점이 중완이다.
(고혈압, 위궤양, 소화불량, 복통, 구토, 급성위염, 위출혈, 식욕부진, 변비, 설사)
[기해, 관원(남자)]
배꼽의 중앙과 불두덩뼈(치골) 위를 잇는 선을 5등분한다. 배꼽 아래로 1.5/5점이 기해, 3/5점이 관원이다.
남자는 기해와 관원을 무극보양뜸자리로 정한다.
(기해 - 생식기질환, 장질환, 신장질환, 강장구혈)
(관원 - 조루, 양기부족, 유정, 발기부전, 탈항, 오줌싸게, 복막염)
[수도, 중극(여자)]
여성은 기해와 관원 대신에 중극과 수도를 활용한다.
배꼽 아래로 4/5 점이 중극, 관원 옆으로 2寸(젖꼭지 정중앙을 따라 내려온 선과 배꼽 사이가 4寸이고
그 절반을 잡는다.
(중극 - 여성의 모든 생식기 질환, 방광질환, 자궁질환, 신장질환, 복막염, 자궁물혹)
(수도 - 월경곤란, 변비, 방광염, 소변불통, 자궁염, 불임증, 신염, 부종, 탈장)
[족삼리]
슬개골(무릎의 동그란뼈) 밑을 보면 들어간 곳이 있는데 이것을 슬안(膝眼)이라고 한다.
다리 안쪽이 내슬안(內膝眼), 바깥쪽이 외슬안(外膝眼)이다.
이 외슬안에서 경골(정강이뼈)을 따라 밑으로 3寸(자기 손가락 4개를 붙인 길이가 3寸 내려와 경골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1寸이 족삼리이다. 여기서 1寸이란 자신의 엄지손가락 폭 정도를 말함.
(최고의 성인용 무병장수혈, 신경통, 고혈압, 사지권태, 소화불량, 위경련, 변비, 빈혈, 반신불수)
족삼리 - 무릎 바깥쪽에 쏙 들어간 곳. 외슬안의 아래쪽에 있는 만져서 쏙 들어간 자리
족삼리혈은 장수에 관계된 혈 자리, 무릎 관절염 치료와 모든 병을 예방하는 자리
중풍요혈로도 제일이다.위장에 탈이 났을 때도 효과적이다.
한쪽한쪽해서 교대로 다섯 번 열장을 뜨게 된다.
뜸자리가 양쪽으로 두 자리일 때는 한번씩 번갈아 가며 뜬다.
무극보양뜸의 뜸자리 3(중완)
중완 - 사람인자 갈빗뼈 중간에서 배꼽사이 가운데(만져보면 조금 들어가 있다)
대부분의 혈자리는 대개 다 들어가 있다.
부부생활에 활력을 주고 영양분의 소화 흡수와 위 질환과 고혈압, 중풍 예방에 효과적이다.
무극보양뜸의 뜸자리 4(기해)
배꼽과 치골 사이를 5등분하여 배꼽으로부터 1/5과 2/5 지점의 중간 지점
치골(불두덩뼈)와 배꼽 사이 5등분의 배꼽쪽 1-2자리 사이 중간 - 기해
배꼽으로부터 내려가서 3/5 자리가 관원이 된다.
관원 - 생명의 근본이다. 맨 처음 우리가 관원의 기운으로 생겼다고 한다.
각 뜸자리마다 5장 씩 뜬다.
무극보양뜸의 뜸자리 6 (고황)
등뼈를 중심으로 4-5번째 흉추 사이에서 양옆 견갑골 모서리에 닿는 지점
(대추 아래 3번째 마디 신주 양 옆)
고황과 신주 사이 중간 폐유가 된다.
고황은 병을 고치는 데 아주 좋은 자리다. 병이 깊어 약이 닿지 않는 곳이 고황이다. 효과가 없을 때 고황에 뜸을 뜬다. 죽을 사람이 살거나 불치가 낳는다.
무극보양뜸의 뜸자리 7 (폐유)
등뼈를 중심으로 3-4번째 흉추 사이로부터 양옆으로 약 3센티미터 떨어진 지점
아이들 집중력을 높이는 아이들에게 좋은 자리다.
구당 김남수 손자는 난 지 이틀만에 떠 준놈, 열흘만에 떠준놈이 제일 늦게 떠준놈이다. 외손자손녀까지 다 더주었다. 우리집에는 약이 없다.
시구가 없는 분은 뒤에는 안뜨고 앞에만 떠도 된다.
무극보양뜸의 뜨자리 8 (백회)
셋째 손가락을 귀에 댄 다음, 턱선을 따라 머리 위로 올려, 양손이 닿는 자리
백회는 백가지 기운이 모이는 자리, 효능은 이루 말할 수 없이 모든 병에 효과, 뇌를 활성화, 뇌기운증진, 치매 망령 건망증 예방 치료, 집중력, 어린애들한테 떠주면 성적이 올라간다.
순서 아래서 위로 혹은 위에서 아래로 반드시 양쪽을 왔다갔다 하면서 뜬다.
무극보양뜸 정리 여덟가지 혈자리
곡지 팔 접히는 부분
족삼리 무릎아래 정강이뼈에서 한마디
중완 배꼽과 치골 사이
기해 배꼽과 치골 사이
관원 배꼽과 치골 사이
폐유 목뒤 대추아래
고황 폐유 아래
백회 얼굴중앙선과 턱선이 머리위에서 만나는 곳 살짝 들어간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