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와 한방용어
산야초의 이름으로 보는 분류
▶ 약용 들나물 : 上品의 산야초로 누구나 바로 먹을 수 있는 "몸에 좋은 산야초"
▶ 약용 산나물 : 上品의 산야초로 누구나 바로 먹을 수 있는 "몸에 좋은 산야초"
▶ 약용 산야초 : 상품의 산야초 또는 中品의 산야초 대개의 약초가 여기에 해당한다.
바로 먹을 수도 있지만 때로는 법제하여 먹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 독성이 있는 약용산야초 : 中品또는 下品에 해당하는 약초로 처방 없이 먹는 것은 위험하다.
흔히 묵나물로 표현되는 고사리, 고비, 가죽나물등과 약성만을 보고
가끔 쓰이는 애기똥풀, 까마중 등으로 효소를 담그는 것은 得보다 失
이 많을 수 있다.
산야초 용어 공부
▶ 학명 : 세계적인 공용 명칭( 아직 촌장이 이름붙인 산야초는 하나도 없다.)
▶ 과명 : 꽃의 모양으로 분류한 명칭
▶ 전초 : 뿌리+줄기+잎+꽃 등 산야초 전체를 말함
▶ 근경(괴경) : 뿌리덩이
▶ 근피 : 뿌리껍질
▶ 백피 : 나무 속껍질
▶ 달임차 : 채취한 산야초를 건재로 말려 보관하면서 약탕기 등에 약한불로 오랫동안 달여 차로
마심
▶ 덖음차 : 어린새순을 가마솥 등에서 살짝 볶듯이 덖어 그늘에 말리면서 멍석 등(또는 목장갑 낀
손으로)에 비벼 습기를 제거하고 다시 덖고 다시 비벼 말리기를 수 차래하여 보관하면
서 따뜻한 물에 우려내어 마시는 차
▶ 발효차 : 채취한 산야초(전초)를 씻어 물기를 말린 후 대충 썰어 흑설탕(황설탕, 올리고당, 물엿,
꿀 등)으로 버무려 항아리 등에서 약 100일간 발효시켜 발효원액을 따스한 물에 타서
또는 얼음을 타서 차로 마심
▶ 산야초 효소 : 1차 발 효후 발효원액을 물10:원액1의 비율로 섞어 2차 발효를 시켜 발효 음료를
만들어 마심
한방용어정리
▶ 補虛(보허) : 기운이 부족한 것을 채워줌
▶ 活血(활혈) : 피의 원활한 순환을 도와줌
▶ 遺精(유정) : 몽정
▶ 양위 : 발기부전
▶ 益腎(익신) : 신장을 이롭게 하니 精을 치밀케한다.
▶ 진경(鎭痙) : 경련을 가라앉힘.
▶ 진전(振顫) : 머리, 손 등에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근육의 불규칙한 운동.
알코올 중독, 쇠약, 히스테리 따위가 원인이 됨,
▶ 청열(淸熱) : 정신적인 충격이나 스트레스로 인하여 갑작스럽게 유발되는 신경성의 심한 통증
▶ 경풍(驚風) : 어린아이가 경련을 일으키는 병을 이르는 말. 경기(驚氣).
▶ 옹종 : 포도상구균이 발생시킴으로 초기 단계는 종기와 비슷하다. 종기와 옹종 사이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옹종이 더 크고 깊으며, 보통 피부에 몇 개의 구멍이 있다는 것이다
▶ 祛風(사풍) : 귀 뒤쪽의 통증, 어지럼
▶ 止痛(지통) : 아픔이 그침
▶ 消腫(소종) : 종양. 악성(암)으로 발전 할 수도 있는 종양
▶ 부종 : 신체조직의 틈 사이에 조직액이 괸 상태.
▶ 수종 : 음낭 등 특정부위에 액체가 고이는 증상
▶ 종창 [腫脹, swelling] : 조직의 비대 또는 증식에 의하여 신체의 국부가 부어오르는 것.
▶ 종기(腫氣) : 살갗의 한 부분이 곪아 고름이 잡히는 병. 부스럼
▶ 기혈(氣血) : 인체의 생기와 혈액.
▶ 건위(健胃) : 위를 튼튼하게 함
▶ 위궤양(胃潰瘍) : 위의 점막이 헐고, 심하면 구멍이 나는 병.
▶ 십이지-장(十二指腸) : 소장(小腸)의 일부로서, 위(胃)의 유문(幽門)에서 공장(空腸)에 이르는
말굽 모양의 부위.
소화액을 쓸개와 이자로부터 받아 음식물에 섞어 내려보냄. 샘창자.
▶ 궤양(潰瘍) : 피부나 점막(粘膜) 따위의 조직이 깊은 곳까지 헐어서 짓무르는 일,
또는 그런 상태. [위궤양·십이지장 궤양 따위.]
▶ 소장(小腸) : 장의 한 부분. 위(胃)와 대장(大腸) 사이에 있으며,
먹은 것을 소화하고 영양을 흡수함. 길이 6~7m. 작은창자.
▶ 비염(鼻炎) : 코의 점막에 생기는 염증
▶ 축농증(蓄膿症) : 체강(體腔) 안에 고름이 괴는 병을 두루 이르는 말,
일반적으로는 부비강에 고름이 괴는 ‘부비강염’을 흔히 이름.
코가 막히고 두통이 나며, 건망증이 생기고 때로는 악취가 나는 분비물이
흐르기도 함.
▶ 냉증(冷症) : 하체를 차게 하여 일어나는 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 갱년기장애(更年期障) : 갱년기에 일어나는 신체적·생리적장애. 이명(耳鳴), 발한(發汗), 두통,
신경통 따위의 증상이 나타남.
▶ 폐열(肺熱) : 폐의 열기
▶ 진해(鎭咳)거담(祛痰·去痰) : 기침을 멎게 함. 가래를 없앰.
▶ 이뇨(利尿) : 오줌을 잘 나오게 함.
▶ 수렴(收斂) : (혈관 따위를) 오그라들게 함.
▶ 각기(脚氣) : 비타민 비 원(B1)의 부족에서 오는 영양실조 증세의 한가지로
다리가 붓고 마비되어 걸음을 제대로 걷지 못하게 되는 병증.
각기병. 각질(脚疾).
'♣ 山野草 이야기 > 산약초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뽕나무를 알면 병이 없다 (0) | 2018.07.09 |
---|---|
오가피 3대 효능 토종오가피 야생오가피의 놀라운 효능 (0) | 2018.07.09 |
산초 (0) | 2018.07.01 |
빼빼목 (0) | 2018.06.23 |
삼지구엽초 (0) | 2018.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