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山野草 이야기/산약초 효능

은행나무

산마을 풍경 2017. 11. 1. 17:44

황금의 나무 보물나무인 은행나무

호흡기능을 왕성하게 하고 염증을 소멸 하며 결핵균의 발육을 억제하며

성욕감퇴, 뇌빈혈, 신경쇠약, 전신피로 등에 뇌혈관을 개선해 주는 효능

은행나무는 우리나라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흔한 나무다. 그러나 아직 산에 저절로 자라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없다. 은행나무는 사람의 도움없이는 번식 하지 못한다.

은행나무는 저절로 싹이터서 자리지는 못하는 나무다.


은행나무는 그 몸 속에 “플라보노이드”라는 살균.살충 성분이 들어있다.

이 성분은 갖가지 벌레의 유충, 식물에 기생하는 곰팡이, 바이러스 등을 죽이 거나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은행나무는 몸에 독이 있을 뿐 아니라 매우 강건해서 병들거나 벌레 먹는 일이 없을 뿐더러

공해에 대한 적응력이 대단히 강하다. 은행나무는 질소나 먼지에 잘 견디고 아황산가스

납 성분을 정화하는 능력이 플라타너스 보다 두 배나 높아 가로수로도 적합하다.


〈은행나무의 약효


은행나무의 열매와 잎은 한방이나 민간에서 약으로 쓴다.

은행 잎은 예로부터 고급 술안주나 신선로, 은행단자 등의 고급 요리에 쓰이는 등 좋은 식품으로

대접 을 받아 왔다. 맛이 달고 성질이 찬 은행 알을 구워 먹어면 맛도 있을 뿐 아니라

몸을 건강하게 하는 효과도 적지 않다.

은행에는 간놀, 펙틴, 히스티딘, 전분, 단백질, 지방, 당분 등이 많이 들어 있어

폐결핵 환자나 천식 환자가 오래 먹으면 기침이 없어지고 가래가 적게 나온다.

이같은 효과는 은행이 호흡기능을 왕성하게 하고 염증을 소멸 하며 결핵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은행의 특이한 작용 가운데 하나는 레시틴과 비타민 B의 모체가 되는

엘고 스테린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서 성욕감퇴, 뇌빈혈, 신경쇠약, 전신피로,

등에 뇌혈관을 개선해 주는 효능이 있다.

그러나 은행 알은 독이 있어서 날로 먹거나 한꺼번에 많이 먹는 것은 좋지 않다.

대게 소금을 쳐서 구워 먹는데 독특한 풍미가 있다.


〈동의보감〉에는 많이 먹어면 배아픔, 구토, 설사, 발열 증세가 있을 수 있다고 하였다.

또 빈속에 150개쯤 먹어면 중독 될 위험이 있다. 은행 독은 청산배당체 로 불에 익히면 독성이 훨씬 줄어든다.

은행에 중독 되었을 때에는 사향을 한 푼 따뜻한 물에 타서 마시거나 감초 달인 물을 마시면 바로 해독된다.


은행은 예로부터 불에 구워 한번에 4~5개씩 먹어면 정력을 강하게 하는데 좋다고 하였고,

또 밤에 오줌을 싸는 아이에게 날마다 구운 은행 알 대여개씩 먹이면 얼마 안가서 낫는다고 한다.


은 행 알 보 다 더 놀 라운 약 효가 있는 것은 은 행 잎 이 다. 은행 잎은 예로부 터 민간 에서 심장 을 돕고 혈액순환을

좋 게 하 며, 폐 를 튼튼하 게 하고 설사 를 멈추게 하 는 등의 효능이 있 다고 하 여 가 슴 앓 이, 가 래 및

천식, 설사, 백 태, 상 피증 등을 치료 하는 약으로 널 리 써 왔 다.

은행 잎 에 들어 있는 성 분은 징코라 이드 A.B.C와 진놀, 프라보놀 등인 데 이 는 말초혈 관 장 애, 노인성 치 매 등을

치료.예 방 하는데 획 기 적 인 효과가 있는 약 물 로 기 대를 모으고 있다.

얼마 전 까지 독 일의 한 제약 회사 는 우리 나 라의 은행 잎을 수입하 여 이들 성분을 추출하 여 연 간 약 10 억 달러의

매출고를 올렸다고 한 다. 우리 나 라의 은행 잎이 다 른 나 라 에서 나 는 것 보다

유효 성분의 함량 이 20배 에서 1백 배 나 많 다.


〈은행나무 채취 및 이용법〉


음력 5월에 따서 그늘에 말린 은행 잎 35g에 감초 15g을 넣고 달인 물을 수시로 마시면

몸 안에 쌓인 독을 풀고 혈압을 내리는 데 상당한 효과있다.

은행 나무는 우리나라를 먹여 살릴 수 있는 보물 나무라고 할 수 있다.

(글/ 약초연구가 최진규 옮김)


'♣ 山野草 이야기 > 산약초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씀바귀  (0) 2017.11.01
싸리나무  (0) 2017.11.01
매발톱  (0) 2017.10.03
줄풀  (0) 2017.10.01
용담  (0) 2017.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