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마을 풍경 2020. 9. 12. 23:10

"은적사(隱寂寺)는 천방사(千房寺) 또는 선림사(禪林寺)라고도 하였다. 이 절은 613년(진평왕 35)에 원광(圓光)국사에 의하여 창건된 것으로 전해온다. 또 하나의 창건설화는 백제 말기 이전에 창건되었다는 것이다. 신라가 당과 연합하여 백제를 침략하였을 때로 보는 것이다. 중국 당나라의 소정방이 백제를 치기 위하여 13만 대군을 이끌고 금강하류에 상륙하여 백제를 공략하려고 설림산 인근의 천방산 아래에 상륙했는데 짙은 안개가 끼어 시계가 막혔으므로, 이 산에 올라 산신에게 기도하면서 안개가 사라지게 하여주면 이 산에 천사(千寺)를 짓겠다고 서약하자 안개가 걷혔다고 한다.

 

 

 

 

천왕문 안쪽 근래에 조성한 부도

 

 

 

 

 

현재는 삼층석탑의 형태이나 알송달송한 탑이다. 탑신의 비례도, 위치, 3층 몸돌의 높이등으로 미루어 5층탑으로 단정 지우고 귀가해 자료를 검색해보니 고려 시대에 조성된 ‘선종암 오층석탑’이라고 한다. 1.3층 몸돌에는 보수한 흔적이 보이고, 얕은 우주도 몸돌에 새겨져 있다. 낙수면 크게 급하지 않으며 층급은 3단이다.귀에는 반전이 뚜렷하다.

 

 

 

그런데 1914년 이 지역에 군산시의 상수도용 수원지가 개설되면서 선종암도 수몰지구에 들어가게 되어 폐사되고 말았다. 이에 절에 있던 불상 등은 은적사로 옮겨지고, 여기에 있던 삼층석탑은 수원지 사무소 옆으로 옮겨졌으며, 1976년에 와서야 현재의 위치인 은적사 경내로 옮겨오게 되었다고 한다.

 

 

오층석탑. 근래 조성된 전각 일색인 은적사에서 고풍을 풍기는 이 탑도 역시 비례,체감이 정연하지 못하다.탑의 기단부는 제 모습이 아니며, 몸돌은 하나의 돌이고 우주가 흼하게 남아 있다. 낙수면 경사는 심하며 처마끝의 반전도 심하다. 조성시기는 조선 후기로 추정된다고 한다.

 

 

사자일까? 해태일까? 벽사의 상징물이다.

 

 

 

                                                                       대웅전은

 

 

불단에는 석가여래상을 주불로 문수, 보현보살을 협시로 봉안하였다. 주불은 인조 7년(1629)에 조성한 것으로 개금하였다. 삼존불은 1937년 허옹선사 당시에도 있었던 것으로서, 전해오는 바에 의하면 금산사 인근의 절에서 가져온 조선 후기의 불상이라고 한다. 개금할 때 이 불상에서 『다라니경』과 오곡 등의 복장물이 발견되었다고 하나 현재는 전하지 않는다.

 

 

이제 우리의 시골 고향도 예전 같은 분위기를 찾을 수 없듯 절집도 지나친 불사의 영향으로 고풍스런 맛이 점점 사라진다. 은적사 역시 세태를 피해갈 수는 없지만 고향 동구의 느티나무 처럼 은적사 경내에도 오래된 느티나무와 팽나무가 객을 반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