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진 원인과 관리
습진, 봄이면 재발하는 원인과 관리방법
겨우내 건조함과 피부 가려움에 시달렸던 많은 사람은 봄을 손꼽아 기다렸지만, 안타깝게도 봄 또한 만만한 계절이 아니다. 날은 따뜻해졌지만 일교차가 심해져 남녀를 막론하고 피부가 건조해지고 유수분 밸런스 균형이 깨지기 쉬울 뿐 아니라 황사와 미세먼지, 꽃가루 등의 외부 자극 요소가 더해지기 때문에 피부 가려움은 물론 습진 등의 증상을 겪기도 한다.
습진은 환부가 빨갛고, 그 위에 좁쌀 모양의 물집이 나타나는 피부 질환인데, 증상이 악화되면 진물이 흘러나오고 딱지가 생기며, 더 심해지면 피부가 두껍게 굳어지는 태선화가 진행된다. 이는 심한 가려움을 동반하는 등의 임상 조직학적 특징을 보이는 피부질환을 통틀어 부르는 용어로서 여기에는 다양한 세부 질환이 있으며 원인, 악화 요인, 병변의 발생 부위와 모양 등으로 임상 양상이 다르며 각각의 치료의 방법, 예후도 다를 수 있다.
습진이 가장 많이 발병하는 부위는 손인데, 손은 다양한 물건의 직접적 접촉이 이루어지다 보니 각종 세균들에 쉽게 노출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부위 특성상 옷으로 가려지지 않고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감과 습윤감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봄에 습진이 재발하는 원인으로는 인스턴트 위주의 식습관, 자극적인 야식, 음주, 과도한 스트레스, 수면 부족과 불규칙한 생활습관 등 생활 습관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행동들이 계속해서 반복되며 신체 건강의 저하를 가져오고, 피부 기능 또한 저하되어 습진이 발생하기도 한다.
습진의 원인을 치료하기 위한 한의학적 방법으로는 환자의 증상과 체질에 맞춘 한약을 통해 피부 면역력을 올려주는 방법이 있는데, 이를 통해 내부에 쌓인 독소와 열까지 배출하여 신체 면역 기능을 증진한다. 약침, 침 등을 적용해 염증과 상처 회복을 도우며 재생을 촉진하여 건강한 피부가 다시 형성되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이러한 한의학적 방법으로 피부면역력과 재생력을 높이면 인체 스스로가 피부질환을 개선할 수 있어 치료는 물론 재발 확률도 낮추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습진 완화를 위한 생활 관리 방법으로는 환부를 자주 씻거나 자극적인 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도 피부 재생에 많은 도움이 된다.
글 = 하이닥 의학기자 장혁 원장 (한의사)
출처 하이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