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마을 풍경 2017. 8. 25. 17:51

이삭여뀌 / 금선초:(金線草)

● 약용부위 : 지상부
● 효능 : 거풍제습(祛風除濕), 이기지통(理氣止痛), 지혈산어(止血散瘀)
● 성미 : 신(辛), 온(溫)

포기 전체에 진통·지혈 등의 효능이 있어 관절통·위통 등에 사용한다.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잎에 털이 적고 잎맥이 들어가지 않으며 끝이 뾰족한

것을 새이삭여뀌(var. neofiliforme)라고 하며
남쪽에서 자란다.

<이용방안>
▶ 全草(전초)는 金線草(금선초), 根(근)은 金線草根(금선초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1) 金線草(금선초)
① 가을에 채취하여 신선한 것 그대로 쓰거나 햇볕에 말린다.
② 약효 : 祛風濕(거풍습), 理氣(이기), 止痛(지통), 지혈, 散瘀(산어)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즘에 의한 骨痛(골통), 위통, 咳血(해혈), 토혈, 혈변, 血崩(혈붕),

월경통, 산후 血瘀腹痛(혈어복통), 타박상을 치료한다.
③ 용법/용량 : 15-30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환부를 씻는다.

2) 金線草根(금선초근)
① 약효 : 散瘀(산어), 消腫(소종),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타박골절, 노상토혈, 이질, 복통, 월경불순, 월경통을 치료하고 또

곽란中惡(중악), 심복통, 喉痺(후비), 蠱毒(고독), 癰疽惡腫(옹저악종-화농성종양),

赤白游疹(적백유진), 蛇, 犬咬傷(사, 견교상)을 치료한다.
② 용법/용량 : 15-30g을 달이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또는 육류와 같이 약한 불에 볶아서 먹는다.
<외용> 짓찧어서 환부에 바르거나 갈아서 낸 즙을 바른다.

<유사종>
▶ 새이삭여뀌 (var. neofiliforme T. LEE) : 잎에 털이

적고 맥이 들어가지 않으며 끝이 뾰족하다.

<특징>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난다.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