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마을 풍경 2017. 7. 19. 23:24

□ 연골을 재생시키는 관절에 좋은 "속새의 효능" □

□ 퇴행성관절은 먼저는 허리에 이상이 없는상태이면,
● 속새 1근 돼지앞족 4개 준비하시어 1말짜리 찜통에 물18리터를 붓고 거기에속쇠1근을 넣어 다리면 물이 반으로 줄어요.
● 그러면 속쇠를 건져내고 그물에다 앞족을 4개넣고 약불로 24시간 다리면 양이 많이 줄거든요.
● 그리고 불을 끄고 식으면 묵처럼 되요.
● 그걸 그릇에담아 냉장고에 넣어 두고 하루에 4번정도 수저로 조선간장에 적당량 찍어서 드세요.
● 1개월정도 드시면 연골이 재생이 되어 많이 효과가 있어요.
● 그러면 한번 더 반복해서 해드세요.
● 간단하면서 연골보충재로 제일이랍니다.
● 또한 위암, 간암, 혀암, 설사, 치질, 요로결석, 탈항, 출혈, 시력증진에 효험이 있다.

□ 속새에 관해서 안덕균씨가 지은<한국본초도감> 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1. "속새과의 상록성 여러해살이풀인 속새(Equisetum hyemale Linne)의 지상부이다. 생약명으로 목적
(木賊)이라고 한다.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평하다. 소산풍열, 명목퇴옹의 효능이 있어 풍열로 인하여 눈이 충혈되거나 눈곱이 끼고 눈동자에 백태가 끼며 시력이 떨어지는 증상 및 외감성으로 인하여 인후가 붓고 아픈 증상에 쓰이고, 화독으로 인한 종기를 다스린다. 지혈 작용이 있어 대변 출혈, 치질 출혈 등에 오이풀 뿌리를 가미하여 사용한다.

2. 성분은 paustrine, dimethyl, sulfone, thym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은 혈압강하 작용, 소염 작용, 수렴 작용, 이뇨 작용, 심장 기능 강화 작용, 관상 동맥의 혈류 촉진 작용이 입증되었다. 임상보고에서 우피선, 규폐증에 효력이 있고, 유행성 감기, 황달형 간염, 결막염, 신우신염, 요로결석, 소변 출혈 등에도 효과가 입증되었다."

□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속새에 관해서 이렇게 적고 있다.
1. "속새(Equisetum hyemale L.) 식물은 사철푸른 여러해살이풀이다. 성분은 전초에는 회분이 약 17퍼센트 있는데 대부분은 규산이다. 또한 카페산과 페룰라산 등이 12퍼센트, 디메틸술폰 CH3-SO2-CH3, 수지, 점액, 정유, 니코틴이 있다. 알칼로이드는 매우 적거나 없다. 특이한 것은 아미노산이 약 12퍼센트 들어있는데 이 가운데에서 간기능 항진에 효과가 있는 메티오닌, 아스파라긴산, 글루탐산이 분리 확인되었다. 탄닌질 11퍼센트, 적은 양의 사포닌, 켐페롤-3, 7-디글루코시드, 켐폐롤-3-디글루코시드-7-글루코시드, 켐페롤-3-글루코시드-7-디글루코시드가 있다.

2. 전초 추출액(알콜 또는 물)은 수렴작용, 피멎이 작용이 있다. 또한 이담 작용과 간의 독풀이 기능을 돕는 작용이 있다. 이 작용은 알콜 추출액보다 물 추출액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건강한 토끼 또는 사염화탄소로 열물이 나오지 못하게 한 토끼에게 물 추출액을 0.1~0.2그램/킬로그램 주사하면 오줌량이 대조보다 2.9배나 많아진다. 동물 실험에서 위암, 간암, 혀암에 효과가 있다.

3. 응용은 황달과 만성 간염에 쓴다. 또한 오줌내가약, 피멎이약으로 물고임, 방광질병, 피오줌, 요실금, 만성 요도염, 방광염에도 쓴다.

4. 동의 치료에서는 월경과다, 치질, 장출혈에 마디를 잘라버리고 달임약을 만들어 쓴다. 하루 10~25그램씩 먹는다.

□ 민간요법
1. 전초를 물에 달여 치질과 눈앓이에 세척약으로 쓰며 류머티스성 관절염에 아픔멎이약, 땀내기약으로 쓴다.
2. 그리고 폐결핵과 목구멍앓이, 가슴앓이에도 쓴다.
3. 헤르니아와 머리아픔에 진정약, 아픔멎이약으로도 쓴다.
4. 속새 우림약은 황달에 쓰며, 그 밖에 입맛적기, 궤양, 종양, 젖앓이에도 쓰는데 많은 나라에서는 주로 황달 치료약으로 쓴다. 달임약, 속새고, 속새단물약, 속새환을 만들어 쓴다."